11월 분양시장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활기를 되찾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4만5천여 가구의 신규 주택이 공급될 예정이며, 그중 비규제 지역 중심의 수도권 단지들이 청약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다음 달 전국 51곳에서 총 4만5507가구(임대 포함, 오피스텔 제외)가 공급될 예정입니다. 이 중 일반분양 물량은 3만813가구로 집계됐습니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이 2만2546가구(73%), 지방이 8267가구(27%)로, 공급 비중의 3분의 2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습니다. 시·도별로는 경기 1만7507가구(57%), 인천 4455가구(14%), 울산 1783가구(6%), 충남 1556가구(5%), 경남 1501가구(5%) 순으로 예정돼 있습니다. 수도권에서는 비규제 지역 중심의 공급이 두드러집니다. 대표 단지로는 ▲경기 파주 ‘운정 아이파크 시티’(3250가구) ▲김포 ‘풍무역 푸르지오 더 마크’(1524가구) ▲안양 만안구 ‘안양자이 헤리티온’(639가구) ▲인천 남동구 ‘포레나더샵 인천시청역’(735가구) ▲인천 미추홀구 ‘시티오씨엘 8단지’(1349가구) 등이 있습니다. 이들 단지는 전체 일반분양 물량의
롯데건설이 안양 평촌 중심부에 공급하는 ‘평촌 롯데캐슬 르씨엘’이 오는 31일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본격적인 분양 일정에 들어갑니다. 최근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아파트 규제가 강화된 가운데, 상대적으로 규제를 받지 않는 오피스텔 상품이 새로운 대체 주거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평촌 롯데캐슬 르씨엘’은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일원에 조성되며, 지하 5층~지상 48층 규모 4개 동으로 구성됩니다. 전용면적은 47㎡에서 119㎡까지로, 중소형부터 중대형까지 총 900실이 공급됩니다. 청약 일정은 11월 3일이며, 당첨자 발표는 6일, 계약은 7일부터 8일까지 진행됩니다. 이번 단지는 수도권 내 비규제 지역에 들어서 LTV 70% 적용이 가능하고, 청약통장 없이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세대주·세대원 구분 없이 청약이 가능하며,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의무도 없습니다.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평가됩니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서울과 과천, 안양 등 수도권 주요 지역이 대부분 규제 지역으로 묶인 상황에서 ‘평촌 롯데캐슬 르씨엘’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비규제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이 본격화되면 평촌 일대의 미래 가
현대건설이 미래형 주거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회사는 차세대 토털 주거 솔루션 브랜드 ‘네오 리빙(NEO LIVING)’을 공개하며, 기술·디자인·서비스가 결합된 통합형 주거 모델을 선보였습니다. 현대건설은 29일 공식 유튜브 채널 ‘디에이치(THE H)’를 통해 ‘네오 리빙’ 브랜드 필름을 공개하고, 자사 프리미엄 브랜드인 디에이치와 힐스테이트가 추구하는 미래 주거 비전을 소개했습니다. ‘네오 리빙’은 단순한 아파트 상품을 넘어 ▲특화 설계와 첨단 기술 ▲운영 효율 ▲맞춤형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주거 시스템입니다. 현대건설은 “공간의 완벽함을 넘어 삶의 완성(Wholeness)을 구현하는 인간 중심 철학을 담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솔루션은 세 가지 핵심 가치로 구성됩니다. 첫째, ‘살수록 건강해지는 집(Health Sync Experiences)’은 입주민의 신체·정신적 건강을 통합적으로 관리합니다. 수면 상태를 분석하는 바이오센싱 기반 시스템 ‘헤이슬립(Hey Sleep)’, 정서 안정 공간 ‘H 카밍부스’, 헬스케어 컨시어지 및 의료 연계 프로그램 등이 포함됩니다. 둘째, ‘일상이 최적화되는 집(Seamless Experiences)’
하나금융그룹(회장 함영주)은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순이익)이 3조4334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조2254억원)보다 6.5%(2080억원) 증가한 것으로,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3분기 개별 순이익은 1조13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지만, 비이자이익 증가와 비용 효율화로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성과를 냈습니다. 하나금융은 “환율 변동 등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도 수익 구조를 다변화하고 리스크 관리와 비용 절감 노력을 병행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3분기 누적 비이자이익은 2조259억원으로 전년보다 12.2%(2210억원) 늘었습니다. 유가증권 및 외환·파생 부문의 매매평가익이 1조1195억원으로 19.5% 증가하며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수수료이익(1조6504억원)도 투자금융, 자문, 퇴직연금, 방카슈랑스, 운용리스 등 축적형 수수료 확대에 힘입어 6.7% 늘었습니다. 이자이익(6조7803억원)과 수수료이익을 합한 핵심이익은 8조4307억원으로, 전년 대비 3.8%(3058억원) 증가했습니다. 3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74%를 기록했습니
신한금융그룹(회장 진옥동)은 2024년 3분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지배기업소유주지분순이익)이 1조4235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1조2971억원)보다 9.8% 늘어난 수치로, 금리 인하 여파에도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갔습니다. 다만 직전 분기(1조5491억원)와 비교하면 8.1% 감소했습니다.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4조460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조441억원)보다 10.3%(4169억원) 증가하며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신한금융은 “기업대출 중심의 자산 성장과 수수료 수익 확대, 철저한 비용 관리가 안정적인 성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룹 전체 3분기 누적 이자이익은 8조66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했습니다. 기준금리 인하로 순이자마진(NIM)은 1.95%에서 1.90%로 다소 하락했지만, 꾸준한 자산 성장이 이자이익을 견인했습니다. 핵심 계열사인 신한은행의 원화대출금은 9월 말 기준 331조4797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말 대비 3.5% 증가한 수치로, 중소기업 대출(2.4%)과 대기업 대출(2.1%)이 고르게 늘었으며, 가계대출은 정책금융 중심으
올해 전국 아파트 분양 시장에서 대형 건설사 브랜드 단지의 인기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부동산R114 조사 결과, 올해 공급된 단지 중 10대 건설사 브랜드 아파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이 기타 단지보다 평균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9월까지 전국에서 총 145개 단지가 분양됐으며, 전체 1순위 청약자는 45만3831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가운데 시공능력평가 기준 10대 건설사 브랜드 단지는 39곳으로 전체의 26.8%를 차지했지만, 청약자의 65.3%인 29만6481명이 몰렸습니다. 반면 기타 브랜드 단지는 106개로 전체의 73%를 차지했으나, 청약자 수는 15만7350명(34.6%)에 그쳤습니다. 단지당 평균 청약자 수로 보면 메이저 브랜드는 약 7600명, 기타 브랜드는 1500명 수준으로 5배 이상 차이가 벌어졌습니다. 특히 1순위 청약자 수 기준 상위 10개 단지 중 7곳이 10대 건설사 브랜드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단지의 청약자 수는 23만8779명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52.6%)을 차지했습니다. 반대로 하위 10개 단지 중 대형 브랜드는 단 1곳뿐이었습니다. 이 같은 ‘브랜드 쏠림 현상’은 시장 조정기에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현대건설이 이라크 남부 바스라 지역에서 수행 중인 정유공장 고도화설비 프로젝트의 주요 공정을 완료하고 시운전에 들어갔습니다. 이번 사업은 이라크의 에너지 자립과 정유 인프라 현대화를 위한 핵심 프로젝트로, 현대건설이 2020년 수주한 총 2조원 규모의 대형 공사입니다. 현대건설은 지난 25일(현지시간) 바스라 정유공장 고도화설비 현장에서 가솔린 첫 생산을 기념하는 행사를 열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행사에는 무함마드 시아 알수다니 이라크 총리, 하얀 압둘 가니 석유부 장관, 이준일 주이라크 한국대사, 류성안 현대건설 플랜트사업본부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수도 바그다드에서 남동쪽으로 약 450km 떨어진 바스라 정유공장 부지에 하루 2만4000배럴 규모의 가솔린을 생산할 수 있는 고도화 설비를 구축하는 공사입니다. 잔사유를 원료로 휘발유와 경유 등 고부가가치 연료를 생산하도록 설계돼 있으며, 중질유를 정제하는 주요 핵심 공정이 포함돼 있습니다. 현대건설은 일본 JGC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설계·조달·시공·시운전(EPC) 전 과정을 일괄 턴키 방식으로 수행했습니다. 60개월간의 공사 기간 동안 국제 수준의 안전관리 체계를 운영해 무재해 시공을 달성했습
한국수출입은행(은행장 직무대행 안종혁)이 미주투자공사(IDB Invest)와 금융협력 관계를 강화합니다. 수출입은행은 27일, IDB 인베스트와 3억달러(약 4,200억원) 규모의 공동금융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IDB 인베스트는 미주개발은행(IDB) 그룹의 민간부문 투자 전문기관으로, 중남미와 카리브해 지역에서 민간기업의 성장 지원과 고용 창출, 기후변화 대응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향후 5년간 최대 3억달러 규모의 공동 금융을 진행하기로 했으며, 수출입은행의 개발도상국민간투자자금(PDIF) 등 다양한 금융수단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PDIF(Private-sector Development Investment Facility)는 수출입은행이 2024년에 신설한 개발금융(DFI) 전용 상품으로, 개도국의 민간 산업 성장을 촉진하고 경제협력 효과가 기대되는 프로젝트에 대출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수출입은행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인프라, 에너지, 디지털·AI 등 한국 기업이 강점을 가진 산업을 중심으로 협력 사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중남미 지역으로의 수출시장 다변화를 도모하고, 현지 민간부문의 자생적
BNK부산은행(은행장 방성빈)이 창립 58주년을 맞아 마련한 기념 음악회 ‘콘서트 1025’가 해운대 벡스코 오디토리움에서 성황리에 열렸습니다. 이번 공연은 지난 25일 오후 3시와 7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됐으며, 고객과 시민 등 5500여 명이 참석해 함께 축하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콘서트 1025’는 BNK부산은행이 매년 창립기념일을 기념해 고객과 지역사회에 감사의 뜻을 전하기 위해 준비하는 대표 문화행사입니다. 올해로 19회째를 맞은 이번 공연은 ‘부산과 함께한 58년, 감사와 감동의 무대’를 주제로 열렸습니다. 공연의 1부에서는 서희태 지휘자가 이끄는 KNN교향악단이 가수 소향과 협연해 영화음악 스페셜 무대를 선보였으며, 관객의 뜨거운 박수갈채를 받았습니다. 이어 2부에는 가수 전유진과 변진섭이 세대를 잇는 무대를 펼쳐 따뜻한 감동을 전했고, 마지막 3부에는 이선희가 출연해 공연의 하이라이트를 장식했습니다. 이날 공연장에는 가족 단위 관객과 부산은행 고객뿐 아니라 지역 문화예술인들도 대거 참석했습니다. 객석은 공연 시작 전부터 가득 차며, BNK부산은행이 추진해온 지역 문화 확산 활동에 대한 시민들의 높은 관심을 보여줬습니다. 방성빈 부산은행장은
두산에너빌리티가 충남 서산시 예천동에서 선보인 ‘트리븐 서산’ 견본주택이 문을 연 이후 주말을 포함한 사흘간 1만5000명 이상이 다녀가며 높은 인기를 보였습니다. 첫날부터 긴 대기 줄이 이어졌고, 중대형 평형 위주의 구성과 실수요자 중심의 분양 조건이 호평을 받았습니다. 현장에는 가족 단위 방문객은 물론 신혼부부, 중장년층 등 다양한 연령층이 몰렸습니다. 관람객들은 유닛 내부와 모형도를 꼼꼼히 살피며 청약 가능성을 적극 검토했습니다. 분양 상담 관계자는 “오픈 당일부터 청약 의사를 밝히는 방문객이 많았고 문의 전화도 이어지고 있다”며 “평면 구성과 계약 조건 모두 실수요자에게 매력적이라는 반응이 많다”고 전했습니다. 개관을 기념해 견본주택에서는 다양한 방문 이벤트가 열렸습니다. 오뎅, 크로플, 음료 등을 제공하는 푸드존을 운영했으며, 청약 고객을 대상으로 명품백과 가전제품 등을 증정하는 ‘BIG 청약 이벤트’도 진행했습니다. 한 40대 방문객은 “현관 팬트리가 넓어 자전거를 둘 수 있고, 드레스룸과 알파룸이 다양하게 구성돼 수납이 편리하다”며 “공간 동선이 효율적이고 실제 생활을 상상했을 때 만족도가 높았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방문객은 “전용 84㎡부
대우건설(대표 김보현)이 국내 건설업계 최초로 기후에너지환경부로부터 ‘탄소저감 조강형 콘크리트(DECOCON)’의 환경성적표지(EPD)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회사는 이번 성과를 27일 공식 발표했습니다. EPD(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 인증은 제품의 원료 채취, 생산, 시공, 사용, 폐기 등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해 투명하게 공개하는 제도입니다. 대우건설은 이번 인증을 통해 건설 산업의 친환경 전환을 상징하는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기술은 대우건설이 한라시멘트와 공동으로 개발한 탄소저감형 콘크리트로, 기존 시멘트를 고로슬래그 미분말로 대체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대 54%까지 줄였습니다. 특히 조강형 슬래그 시멘트를 사용함으로써 겨울철에도 빠른 강도 발현과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했습니다. 프리캐스트(PC) 구조물뿐 아니라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도 폭넓게 적용이 가능합니다. 대우건설은 한양대학교 탄소중립스마트건축센터의 자문을 받아 실제 공사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심사에 참여했습니다. 엄격한 서류 검토와 현장 실사를 거쳐 최종 인증을 획득했으며, 전국 주요 8개 현장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