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업 비즈

대우건설, 국내 건설사 최초 ‘탄소저감 콘크리트’ EPD 인증 획득

대우건설, 국내 최초로 탄소저감 콘크리트 EPD 인증 획득
고로슬래그 활용으로 CO₂ 배출 최대 54% 절감
저탄소기술 상용화로 ESG 경영 강화

 

대우건설(대표 김보현)이 국내 건설업계 최초로 기후에너지환경부로부터 ‘탄소저감 조강형 콘크리트(DECOCON)’의 환경성적표지(EPD)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회사는 이번 성과를 27일 공식 발표했습니다.

 

EPD(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 인증은 제품의 원료 채취, 생산, 시공, 사용, 폐기 등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해 투명하게 공개하는 제도입니다. 대우건설은 이번 인증을 통해 건설 산업의 친환경 전환을 상징하는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기술은 대우건설이 한라시멘트와 공동으로 개발한 탄소저감형 콘크리트로, 기존 시멘트를 고로슬래그 미분말로 대체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대 54%까지 줄였습니다.

 

특히 조강형 슬래그 시멘트를 사용함으로써 겨울철에도 빠른 강도 발현과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했습니다. 프리캐스트(PC) 구조물뿐 아니라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도 폭넓게 적용이 가능합니다.

 

대우건설은 한양대학교 탄소중립스마트건축센터의 자문을 받아 실제 공사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심사에 참여했습니다. 엄격한 서류 검토와 현장 실사를 거쳐 최종 인증을 획득했으며, 전국 주요 8개 현장에서 해당 콘크리트를 이미 적용했거나 적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이번 인증은 대우건설이 국내 건설사 가운데 처음으로 친환경 기술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사례”라며 “향후 저탄소제품 인증과 탄소감축 방법론 인증을 순차적으로 확보해 ESG 경영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대우건설은 올해 12월 기후에너지환경부의 ‘저탄소제품 인증’을 추가 취득하고, 내년 2월에는 대한상공회의소의 ‘탄소감축 인증(방법론·사업계획서·모니터링 보고서 인증)’을 받을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공인받고, 탄소크레딧(탄소배출권)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회사는 앞으로 ▲탄소저감형 건설자재 연구개발 ▲저탄소 기술 상용화 ▲현장 적용 확대 등을 통해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정책에 부응하고, 친환경 건설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방침입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