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금융그룹(회장 이찬우)은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2조2599억원의 당기순이익(지배주주지분 기준)을 기록했다고 1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조3020억원)보다 1.8%(421억원) 줄어든 수치입니다. 이자이익은 6조1863억원으로 전년 동기(6조3913억원) 대비 3.2% 감소했습니다. 대출채권 규모가 370조4000억원으로 1년 새 7.7% 늘었지만, 시장금리 하락으로 순이자마진(NIM) 축소세가 이어진 결과입니다. 카드 부문을 포함한 은행 NIM은 지난해 9월 1.91%에서 올해 9월 1.67%로 하락했습니다. 농협금융은 “우량 차주 중심의 대출 확대와 핵심예금 유치 강화로 NIM 안정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정부의 ‘생산적금융’ 기조에 발맞춰 여신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하고, 조달비용 절감을 통해 이자이익의 적정 수준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반면 비이자이익 부문은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3분기 누적 비이자이익은 1조8766억원으로 전년 대비 20.6%(3203억원) 늘었습니다. 자본시장 활황에 따른 유가증권 운용 수익과 인수자문·위탁중개 수수료 확대가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유가증권 및 외환·파생 관련 수익은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올해 3분기 누적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이 2조2597억원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습니다. 별도 기준 순이익은 1조99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8%, 0.1% 증가했습니다. 시장금리 하락 흐름 속에서도 적극적인 중소기업 지원과 비용 효율화가 실적을 이끌었습니다. 특히 3분기 이자이익은 1조9529억원으로 전분기(1조8826억원) 대비 3.7% 증가하며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비이자이익은 3분기 누적 기준 6208억원으로, 전년 동기(3722억원)보다 66.8% 늘었습니다. 수수료수익 개선과 투자 관련 손익이 동시에 확대된 결과입니다. IBK기업은행은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중소기업 지원에 집중했습니다. 3분기 말 기준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260조303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3조1100억원(5.3%) 증가했습니다. 전체 대출 잔액은 314조2510억원이며, 이 중 중소기업대출 비중은 83%에 달합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비중이 52%(135조9820억원)로 가장 높았습니다. 기업은행은 “기술력과 경쟁력을 갖춘 중소 제조기업 중심의 지원을 강화하며 산업 생태계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자산건전성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올해 3분기까지 5조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연간 순이익(5조782억원)을 이미 넘어선 가운데, 연말까지 6조원을 넘어 7조원에 근접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KB금융이 30일 발표한 3분기 실적에 따르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지배주주지분 기준)은 5조1217억원으로 전년 동기(4조3941억원)보다 16.6%(7276억원) 증가했습니다. 3분기 단독 분기순이익은 1조6860억원으로 4.1%(663억원) 늘었습니다. 이번 호실적은 핵심이익의 고른 성장과 안정적인 비용 관리의 결과로 풀이됩니다. 3분기 누적 순이자이익은 9조7049억원으로 전년보다 1.3% 증가했습니다. 금리 하락과 대출 규제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환경 속에서도 핵심 예금 확대와 조달비용 절감, 건전한 여신 성장 전략이 실적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그룹 순이자마진(NIM)은 1.96%로 전 분기와 동일하며, 은행 NIM은 1.74%를 유지했습니다. 비이자이익은 3조7390억원으로, 기타영업손익이 감소(–15.4%)했음에도 순수수료이익(2조9524억원)이 3.5% 늘어 견조한 이익 체력을 유지했습니다. 9월 말 기준 보통주자본비율(CET1
메리츠금융지주(대표이사 부회장 김용범)는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이 1조358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3일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1조3275억원)보다 2.3% 늘어난 수치로, 반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2분기 순이익은 7376억원으로 분기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7조5817억원, 영업이익은 1조6715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총자산은 124조2453억원에 달했으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업계 최고 수준인 26.3%를 나타냈습니다. 회사 측은 “메리츠화재의 투자손익 호조와 메리츠증권의 기업금융·자산운용 실적 개선이 실적 성장을 이끌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주요 계열사별 성과를 보면, 메리츠화재는 2분기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이 52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늘며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올렸습니다. 상반기 누적 순이익은 9873억원입니다. 상반기 보험손익은 7242억원, 투자손익은 6048억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산운용투자이익률은 4.5%로 지난해보다 0.6%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또 2분기 신계약보험계약마진(CSM)이 3731억원 증가하면서 상반기 말 기준 CSM 잔액은 11조2482억원을 기록했습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은행장 최우형)는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842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특히 2분기 실적은 68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47억원) 대비 96.3% 증가하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습니다. 이자이익은 대출자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 인하와 가상자산 예치금 이용료율 상승으로 이자비용이 늘어나 1033억원에 그쳤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1286억원)보다 19.7% 감소한 수치입니다. 반면 비이자이익은 197억원으로 1년 전보다 16.2% 늘었습니다. 채권 운용수익과 플랫폼 광고 확대가 성장을 견인했으며, 특히 앱테크 서비스 ‘용돈받기’는 출시 두 달 만에 가입자 100만 명을 돌파해 광고 수익을 4배 이상 끌어올렸습니다. 케이뱅크는 향후 다양한 앱테크 서비스로 광고 제휴를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대손비용도 개선됐습니다. 담보대출 비중 확대와 여신심사 고도화에 힘입어 2분기 대손비용은 413억원으로 전년 동기(562억원) 대비 26.5% 줄었습니다. 케이뱅크는 대안신용평가모형 ‘이퀄’을 도입하고, 카드사 등 다양한 외부 데이터를 심사에 반영하며 신용평가시스템(CSS)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건전성 지표 역시 안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가 올해 상반기 263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설립 이후 가장 큰 실적을 올렸습니다. 고객 기반 확장과 다양한 수익 구조 확보가 호실적의 핵심 배경으로 꼽힙니다. 카카오뱅크가 6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경영실적’에 따르면 2분기 순이익은 1263억원으로, 전년 동기(1202억원) 대비 5.1% 증가했습니다. 상반기 누적 순이익은 263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314억원)보다 14% 늘며 반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주목할 점은 여신이자수익이 소폭 줄었음에도 비이자수익이 크게 확대됐다는 점입니다. 상반기 여신이자수익은 9999억원으로 작년 동기(1조204억원)보다 2% 감소했지만, 비이자수익은 5626억원으로 전년 대비 30.4% 증가했습니다. 전체 영업수익(1조5625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6%까지 커졌습니다. 대출·투자·지급결제 등 주요 사업부문은 물론 펌뱅킹과 오픈뱅킹, 광고 수익도 고르게 성장했습니다. 특히 수수료·플랫폼 부문 수익은 1535억원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습니다. 대출비교서비스 성과도 눈에 띕니다. 현재 제휴 금융사는 70여곳으로 확대됐으며, 2분기에만 해당 서비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이 1조697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발표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1조420억원) 대비 62.9%(6553억원) 늘어난 수치이며, 직전 분기(6841억원) 대비로는 2.5배(148.1%)에 달하는 증가폭을 보였습니다. 1분기 기준으로는 창사 이래 최대 실적입니다. KB금융은 “지난해 1분기 은행의 ELS 손실보상 충당부채 전입으로 인한 기저효과가 사라지고, 비은행 부문이 고르게 성장한 덕분에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익 기여도는 은행 부문이 58%, 비은행 부문이 42%로 집계돼, 불확실한 시장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균형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1분기 순이자이익은 3조2622억원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했습니다. 은행의 대출이자 수익은 다소 감소했으나, 핵심예금 확대와 조달비용 절감 노력으로 전체 수익성을 방어했습니다. 비이자이익은 순수수료이익과 기타영업손익을 포함해 1조29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했습니다. 시장금리 하락으로 유가증권 평가손익이 개선됐고, 직전 분기 대비로는 무려 208% 급증했습니다. 그룹 **순이자마진(NIM)**은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은행장 최우형)는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이 1281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1일 밝혔습니다. 이는 2023년 128억원 대비 약 10배에 달하는 규모이며 2022년 836억원을 넘어선 출범 이래 최대 실적입니다. 지난해 말 기준 수신잔액은 28조5700억원으로 전년 말 19조700억원보다 49.8% 증가했습니다. 플러스박스 고액예치 고객 대상 금리 인상과 한도 폐지, 생활통장 리워드와 돈나무 키우기 서비스, K패스 기능을 추가한 MY체크카드·ONE체크카드 출시 등이 성장 요인으로 꼽힙니다. 케이뱅크의 가계 수신에서 요구불예금 비중은 47.1%에서 59.5%로 높아졌습니다. 여신잔액도 담보대출 확대에 힘입어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여신잔액은 16조2700억원으로 전년 말 13조8400억원보다 17.6% 늘었습니다. 대출이동제 시행에 따른 아파트담보대출 확대와 인터넷은행 최초 비대면 개인사업자 부동산담보대출인 ‘사장님 부동산담보대출’ 출시가 주효했습니다. 전체 대출 중 담보 및 보증대출 비중은 39.0%에서 53.1%로 상승했습니다. 여수신 확대에 따라 이자이익은 4815억원으로 6.9% 늘었으며 비이자이익은 613억원으로 전년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