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업 비즈

케이뱅크, 지난해 순익 1281억…출범 이래 최대 실적 기록

요구불예금·담보대출 확대가 실적 견인
상생금융·건전성 강화로 고객 1274만명 돌파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은행장 최우형)는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이 1281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1일 밝혔습니다. 이는 2023년 128억원 대비 약 10배에 달하는 규모이며 2022년 836억원을 넘어선 출범 이래 최대 실적입니다.

 

지난해 말 기준 수신잔액은 28조5700억원으로 전년 말 19조700억원보다 49.8% 증가했습니다. 플러스박스 고액예치 고객 대상 금리 인상과 한도 폐지, 생활통장 리워드와 돈나무 키우기 서비스, K패스 기능을 추가한 MY체크카드·ONE체크카드 출시 등이 성장 요인으로 꼽힙니다.

 

케이뱅크의 가계 수신에서 요구불예금 비중은 47.1%에서 59.5%로 높아졌습니다. 여신잔액도 담보대출 확대에 힘입어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여신잔액은 16조2700억원으로 전년 말 13조8400억원보다 17.6% 늘었습니다. 대출이동제 시행에 따른 아파트담보대출 확대와 인터넷은행 최초 비대면 개인사업자 부동산담보대출인 ‘사장님 부동산담보대출’ 출시가 주효했습니다. 전체 대출 중 담보 및 보증대출 비중은 39.0%에서 53.1%로 상승했습니다. 

 

여수신 확대에 따라 이자이익은 4815억원으로 6.9% 늘었으며 비이자이익은 613억원으로 전년 338억원 대비 81.4% 증가했습니다. 머니마켓펀드(MMF) 등 운용수익이 늘고 가상자산 시장 호조에 따라 펌뱅킹 수수료 수익, 체크카드 발급 증가, 연계대출 성장, 플랫폼 광고수익 등이 실적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중저신용자 대상 금융지원에도 힘썼습니다. 지난해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은 1조1658억원에 달하며 연간 평균 비중은 34.1%로 목표치였던 30%를 넘어섰습니다. 지난해 4분기 기준 비중은 35.3%로 인터넷은행 중 가장 높았습니다.

 

적극적인 상생금융과 더불어 안정자산 비중 확대, 여신관리 강화를 통해 건전성도 개선됐습니다. 케이뱅크의 연체율은 0.96%에서 0.90%로 낮아졌고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86%에서 0.82%로 안정화됐습니다.

 

작년 말 기준 케이뱅크 고객 수는 1274만명으로 1년간 321만명이 늘었습니다. 이는 가상자산 호황으로 고객이 급증했던 2021년을 제외하면 출범 이후 최대 증가폭입니다.

 

케이뱅크는 올해 IT 리더십을 바탕으로 고객을 1500만명까지 늘리고 기업대출 시장 진출을 확대하는 한편 상생금융과 사회공헌활동도 강화할 계획입니다.

 

최우형 은행장은 “상품과 서비스 경쟁력 제고를 통해 고객이 늘고 포트폴리오 개선과 건전성 관리가 이뤄져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라며 “올해도 안정적인 이익 실현과 리스크 관리를 통해 지속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