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학원가 인근 지역의 부동산 가치가 높아지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은 9425만원으로 강남 평균(8810만원)보다 615만원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용 84㎡형으로 환산하면 약 2억원 이상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특히 ▲래미안대치팰리스1단지 ▲대치SK뷰 ▲대치푸르지오써밋 등 학원 밀집 지역에 위치한 단지들이 가장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양천구 목동 역시 학원가 효과가 뚜렷합니다. 같은 기준으로 3.3㎡당 평균 매매가격은 5649만원으로, 지역 평균(4648만원)보다 1000만원가량 높습니다. 목동5단지는 3.3㎡당 8944만원을 기록하며 우수한 교육환경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경기도 안양 평촌동의 경우 평균 매매가가 3.3㎡당 3084만원으로, 안양시 평균(2499만원)보다 585만원 높았습니다. 이 중 학원가 중심부에 자리한 ‘향촌롯데아파트’는 3921만원으로 지역 내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구 수성구 범어동은 3.3㎡당 2846만원으로 대구 전체 평균(1172만원)의 두 배가 넘는 가격을 기록했습니다.
교육열이 높은 지역일수록 ‘라이딩 문화’가 일상화된 점도 주목됩니다. 학부모가 자녀를 직접 차량으로 학원에 데려다주는 이동 문화가 확산하면서, 교통 편의와 학원 접근성이 주거 선택의 주요 기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사교육비 총액은 29조2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7.7% 늘었습니다. 학생 수는 줄었지만 사교육비는 4년 연속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며 교육열이 여전히 뜨겁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학원가 지역의 집값이 단순한 입지 요인을 넘어 **‘교육 인프라 자산화 현상’**으로 해석된다고 분석합니다. 오랜 기간 축적된 학원 시스템과 명문학교 진학 실적이 지역 브랜드로 굳어지며, 이는 부동산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신축 아파트의 경우 학군 프리미엄과 희소성이 결합돼 가격이 쉽게 하락하지 않는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교육 경쟁이 지속되는 한 학원가 중심지의 주거 프리미엄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며 “교육과 주거의 결합이 중장기적으로 지역 가치의 핵심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 주요 학원가 인근 신규 분양 단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경기도 안양시 평촌동에서는 롯데건설이 시공하는 **‘평촌 롯데캐슬 르씨엘’**이 10월 분양을 앞두고 있으며, 학원가와 명문학교 밀집 지역이라는 입지 장점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단지는 지하 5층~지상 48층 규모로, 다양한 평면 구성과 고급 커뮤니티 시설을 갖출 예정입니다.
서울 서초구에서는 DL이앤씨가 **‘아크로 드 서초’**를 10월 공급할 예정입니다. 단지는 서이초등학교 인근에 위치해 대치동 학원가 접근성이 뛰어나며, 포스코이앤씨가 분양 중인 ‘어나드 범어’(대구 수성구) 역시 경신중·경신고 등 명문학군과 수성구청역 학원가가 가까워 실수요자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