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건설은 국내 건설업계 최초로 ‘로봇 친화형 단지’ 조성 계획을 발표하며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는 새로운 주거 모델을 제시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이번 혁신은 압구정2구역을 시작으로 ‘로봇 기반 스마트시티 모델’로 발전해 나갈 예정입니다.
현대건설은 설계 단계부터 로봇의 동선과 시스템 연동을 고려했습니다. 엘리베이터, 자동문, 통신망까지 로봇과 연결되도록 설계해 단지 내 모든 구간에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IoT 기반 관제 시스템 덕분에 로봇은 층간 이동과 문 개폐를 스스로 수행하며, 단지 입구 도로에서 지하주차장·공동현관·엘리베이터를 거쳐 세대 현관까지 완전 자율주행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번 단지에는 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과 현대로템, 현대위아 등 계열사의 기술력이 결집됩니다. 피지컬 AI 기반 로봇은 단지 전역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입주민의 이동, 안전, 편의, 전기차 충전과 주차까지 생활 전반을 지원합니다.
단지 내부 이동 수단으로는 현대차·기아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플랫폼 ‘셔클’을 적용한 무인 셔틀이 운영됩니다. 이는 실시간 승객 수요에 맞춰 노선과 시간을 조정해 교통 약자까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 로봇은 쇼핑 짐 운반과 안면인식 기반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향후 거동이 불편한 입주민의 이동 지원 기능도 확대될 예정입니다.
안전 분야에서는 현대로템이 개발한 무인 소방 로봇이 투입됩니다. 고온·유독가스 환경에서도 활동 가능하며, 열화상 카메라와 특수 장비를 활용해 소방 인력이 접근하기 어려운 화재 현장에서 신속히 대응할 수 있습니다.
편의성을 높이는 전기차 충전 로봇도 도입됩니다. 차량이 충전구역에 들어서면 로봇이 자동으로 충전구를 열고 케이블을 연결하며, 충전 완료 후에는 자동 분리와 과열 감지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상가 주차장에는 발렛 주차 로봇이 적용돼 좁은 공간에서도 정밀 주차가 가능해 주차 효율을 30% 이상 높일 수 있습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압구정2구역은 이동, 안전, 편의, 전기차 충전과 주차까지 아우르는 차별화된 로봇 솔루션이 적용되는 첫 번째 단지”라며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는 주거 문화를 창출하고, 기술과 서비스가 결합된 혁신적 모델을 선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현대건설은 지난해 업계 최초로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를 상용화했습니다. 지난 8월 준공된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에는 스타트업 모빈과 공동 개발한 실내외 통합 D2D(Door to Door)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를 적용해 입주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은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