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업 비즈

HDC현산, ‘용산역 직결 단지’ 비전 제시…지하공간 확장으로 미래가치 극대화

HDC현산,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입찰 전략 공개
용산역과 직접 연결되는 지하공간 설계 제시

 

HDC현대산업개발이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재개발사업에서 ‘직결형 교통·상업 복합단지’ 구상을 내세웠습니다. 회사는 단지를 용산역(1호선·경의중앙선·KTX)과 직접 연결해 ‘교통의 허브’를 품은 입지적 강점을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을 밝혔습니다.

 

HDC현산은 입찰 제안서에서 용산역과 연결되는 지하통로 및 상업시설 설계를 포함해 약 1만9300㎡(약 5843평)의 추가 지하공간 확보 계획을 제시했습니다. 이 공간은 용적률 산정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상가 분양수입 증대와 조합원 분담금 절감 효과가 동시에 기대됩니다.

 

현재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은 용산역과 신용산역이 도보 15분 내에 위치해 있지만, 단지와 직접 연결된 통로는 없습니다. 따라서 지하철과 단지가 바로 이어질 경우, 입주민의 주거 편의와 자산가치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고급 재건축 단지들이 추진하는 ‘역직결 프리미엄’ 흐름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예컨대 압구정3구역은 압구정역 출입구를 단지와 연결하는 방안을 추진 중으로, 완공 후 주거가치 상승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HDC현산은 ‘연결(Connectivity)’을 핵심 콘셉트로 사업 전략을 세웠습니다. 서울시 역시 용산역 광장과 주변 지역의 연계성 확보를 권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HDC현산이 본사 소재지인 용산아이파크몰을 비롯해 용산역전면 공원 지하공간개발과 철도병원 부지개발 사업을 동시 진행 중인 점은 큰 경쟁력으로 평가받습니다.

 

반면 경쟁사인 포스코이앤씨는 용산역 인근 개발권이 없어, 철도역과 직접 연계된 복합상권을 조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단지가 역과 직결될 경우, 주거뿐 아니라 상업시설의 흡입력도 커져 분양성과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실제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하철과 직접 연결된 상업시설의 임대료는 비연결 건물보다 평균 20~25%가량 높은 수준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을지로입구역과 연결된 ‘눈스퀘어’는 3.3㎡당 임대료가 35만 원으로, 인근 비연결 상가보다 25% 비쌉니다. 신림역과 연결된 ‘경방 타임스트림’ 역시 주변 상가 대비 17.6% 높은 임대료를 기록했습니다.

 

오피스 빌딩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역삼역과 직결된 ‘강남파이낸스센터’의 임대료는 인근 SI타워보다 7% 높고, 여의도역과 연결된 ‘Two IFC’는 주변 빌딩보다 약 9%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 지하철 인접 자산 전용평당 임대료 비교표(부동산R114 정보)

구 분

건 물 명

연결여부

평당(3.3)

임대료 ()

 

2호선

을지로입구역

눈스퀘어

O

350,000

상가

(판매시설)

앰플라자

X

280,000

2호선

신림선 신림

경방 타임스트림

O

240,000

롯데백화점 관악

X

204,000

1호선

종각

그랑서울

O

430,000

오피스

(업무시설)

센트로폴리스

X

400,000

2호선

역삼

강남파이낸스센터

O

450,000

SI타워

X

420,000

5호선/9호선

여의도

Two IFC

O

350,000

원센티널

X

320,000

 

한 부동산 전문가는 “지하철과 직접 연결된 건물은 유동인구 유입이 자연스럽게 발생해 공실률이 낮고 임대수익률이 높다”며 “도시 연결성과 상권 통합 능력이 중요한 용산 프로젝트에서는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시공사의 경험이 결정적 요소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HDC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은 서울의 교통·상업 중심지라는 입지적 강점을 최대한 살릴 계획”이라며 “지하공간을 활용한 교통 연계와 상권 활성화로 단지의 미래가치를 극대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시공사 선정 총회는 오는 6월 중순 열릴 예정입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