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업 비즈

DL이앤씨, 울릉공항 마지막 케이슨 설치 완료…국내 최초 해상 활주로 기반 완성

DL이앤씨, 울릉공항 마지막 케이슨 설치 완료
3년간 30함 설치 마무리…2028년 개항 목표
국내 최초 해상 활주로 공항, 공정률 61% 달성

 

DL이앤씨가 울릉공항 건설사업의 핵심 공정인 마지막 케이슨 설치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회사는 8일 “지난 2022년 5월 첫 케이슨 설치 이후 약 3년 만에 모든 케이슨(30함) 설치를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케이슨(Caisson)은 항만 안벽이나 방파제, 매립 구조물 등에 활용되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로, 해상에서 바다를 차단하고 내부를 메워 육지를 조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번 공사에서는 바닷속 수심이 약 30m에 달하는 울릉도 지형 특성을 고려해 국내 최대 규모의 케이슨이 제작됐습니다.

 

가장 큰 케이슨은 높이 28m, 너비 32m, 길이 38m, 무게 1만6400t으로, 중형차 약 1만 대에 맞먹는 중량을 자랑합니다. DL이앤씨는 이를 통해 국내 최초로 ‘케이슨 공법’을 공항 매립지에 적용해 새로운 해상공항 시공기술을 구현했습니다.

 

울릉공항은 육로로 접근할 수 없는 울릉도에 건설되는 국내 최초의 해상공항입니다. 활주로를 조성할 평지가 부족한 지형 특성상, 바다를 메워 1200m 길이의 활주로를 새로 조성하고 있습니다.

 

케이슨 제작은 포항 영일만에서 진행됐으며, 설치 장소인 울릉도까지 약 210km 해상을 예인선을 이용해 반복 운송했습니다. 총 이동 거리는 약 6300km로 서울~부산 구간을 8회 왕복한 수준입니다. 케이슨 운송에는 ‘IPCCV(Individual Pushing Caisson Carrier Vehicle)’라는 전용 장비가 투입됐습니다. 이 장비는 유압잭 96개를 탑재해 개별 케이슨을 들어 올려 부두로 옮기는 역할을 합니다.

 

공사 환경은 매우 까다로웠습니다. 케이슨의 안정적 운반을 위해 최소 5일 연속 파고(파도 높이) 1.5m 이하의 날씨가 확보돼야 했기 때문에, 실제 작업 가능 일수는 한 달 평균 10~15일에 불과했습니다.

 

DL이앤씨는 케이슨을 해상에 정밀하게 배치한 뒤, 바닥에 사석(작은 돌) 6만t을 투입해 기초를 다졌습니다. 돌의 크기와 형태가 제각각이어서 잠수부들이 직접 틈새를 메우는 수작업으로 마무리했습니다.

 

울릉공항은 울릉군 사동항 일대 43만여㎡(약 13만 평) 부지에 조성되며, DL이앤씨가 설계·조달·시공을 모두 담당하는 턴키(일괄수주) 방식으로 6073억원에 수주했습니다. 2020년 7월 착공 이후 현재 공정률은 61% 수준입니다. 매립지 조성과 활주로, 공항 터미널 공사를 순차적으로 완료해 2028년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공항이 완공되면 서울에서 울릉도까지의 이동시간은 기존 7시간에서 약 1시간으로 단축될 전망입니다.

 

DL이앤씨 관계자는 “울릉공항은 동해의 거친 해상 환경 속에서 고도의 시공 기술과 안정성을 요구하는 프로젝트”라며 “남은 공정도 철저한 품질관리와 안전 확보를 통해 성공적으로 완공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