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이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2025년도 종합건설업 토건 시공능력평가’에서 23위를 차지하며 지난해보다 3계단 상승한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이번 결과는 쌍용건설이 2022년 33위에서 2023년 28위, 2024년 26위를 거쳐 2025년 23위에 오르기까지 최근 3년간 꾸준히 순위를 끌어올린 끝에 이뤄진 것으로, 총 10단계 상승이라는 의미 있는 지표로 평가됩니다. 회사는 그간 설계 변경을 통한 공정 최적화와 원가 절감 노력을 강화하며, 경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주력해 왔습니다. 아울러 기술 인력의 자격 승급과 교육 확대, 미신고 인력 등록 확대 등 인사 관리 부문의 체계적인 개선도 병행했습니다. 이러한 조직적 변화는 기술능력 평가액 증가로 이어졌으며, 결국 시공능력평가 순위 상승이라는 가시적인 결과를 만들어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원가 경쟁력을 기반으로 기술적 차별화에 더욱 집중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하며 순위를 지속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국내 주택건설업계에 신규 진입한 업체 수가 15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집계되며, 주택경기 침체의 심각성이 다시 한번 확인됐습니다. 대한주택건설협회가 3일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주택건설업에 새롭게 등록한 업체는 총 421곳으로, 전년(429곳)보다도 소폭 감소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주택경기가 극심하게 위축됐던 2009년(363곳) 이후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주택경기가 호황을 맞았던 2021년에는 신규등록 업체 수가 2,191곳에 달했으나, 2022년에는 1,086곳으로 반토막 났고, 2023년에는 429곳으로 다시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불과 3년 사이에 신규 진입 규모가 80% 이상 줄어든 셈입니다. 사업 여건이 악화되면서 업계에서 철수한 사례도 적지 않았습니다. 자발적으로 등록을 반납한 업체는 796곳으로, 10년 평균치(약 606곳)보다 약 200곳이나 많습니다. 등록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말소된 업체는 192곳으로 전년(246곳)보다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이에 따라 전체 등록 주택건설업체 수는 전년 대비 6% 감소한 8,823곳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같은 흐름은 주택시장뿐 아니라 건설업계 전반으로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