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분양 단지가 경기 불황 속에서도 ‘안전 자산’으로서의 입지를 다시금 입증하고 있습니다.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에 따르면 2024년부터 2025년 1분기까지 전국에서 분양된 단지는 총 308개로 집계됐습니다. 이 중 지방 물량이 165개로 전체의 53.6%를 차지했습니다. 수도권 지역의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은 71.4대 1로, 지방 평균 경쟁률 7.0대 1과 비교해 10배 이상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경쟁률이 지방의 10배 이상이라는 수치는 ‘똘똘한 한 채’ 선호가 서울권에 집중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사상 처음으로 13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KB부동산 월간 동향에 따르면, 지난 4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3억2965만 원이었으며, 5월에는 13억4543만 원으로 한 달 새 1577만 원(1.18%) 상승했습니다. 이는 전국 평균 매매가격인 5억2543만 원, 수도권 평균 7억7018만 원과 비교해 월등히 높은 수준입니다. 반면 지방은 공급 과잉과 수요 위축으로 인해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의 지난 3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이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도 전세가율이 높아지면서 매매 전환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68.0%로 2022년 11월 시세조사 표본 확대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서울 역시 54.1%로 표본 확대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전세가율 상승은 전세 수요 증가와 맞물려 매매 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요인입니다. 최근 전세 수요는 봄 이사철을 앞두고 증가하고 있으며, 매매 수요는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위축된 상태입니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공급 부족 현상도 감지되고 있습니다. 지난달 일반분양 아파트는 전국 3751가구에 불과해 2023년 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수도권에서는 일반분양 물량이 전무했으며, 경기 지역은 108개월 만에 분양이 없었습니다. 입주 물량도 줄어들고 있습니다. 직방에 따르면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2만1404가구로 전월 대비 37% 감소했습니다. 수도권 입주 물량은 7250가구로 지난달의 절반 수준입니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일부 서울 아파트에서는 분양가보다 낮은 가격에 매물이 나오며 ‘마이너스 프리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