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산업 정책

김포, 수도권 ‘비규제 청정지’ 부상…풍선효과로 청약·매매시장 활기

10·15 대책 이후 수요 집중 가속
대출·세금 부담 적고 청약 진입문턱 완화
역세권 신축 브랜드 단지 잇따라 공급

 

수도권 부동산 규제가 강화되면서 비규제지역으로 분류된 김포시가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에서도 김포는 대출, 청약, 세금 등 이른바 ‘트리플 규제’를 피하며 사실상 수도권 내 유일한 비규제지역으로 남았습니다.

 

서울과 가까운 입지적 장점에 더해 지하철 5호선 연장 등 교통 호재가 이어지면서 김포 부동산 시장에는 규제 지역의 수요가 이동하는 ‘풍선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김포 아파트값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약 48% 상승했으며, 최근 대책 이후에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번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과천, 분당, 광명 등 주요 지역이 규제지역으로 묶이면서 대출 한도 축소, 세금 중과, 청약 자격 강화 등 진입장벽이 높아졌지만, 김포는 예외로 남았습니다.

 

김포의 가장 큰 강점은 완화된 금융 규제입니다. 서울 투기과열지구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은 40% 수준이지만, 김포는 최대 60%까지 가능해 적은 자본으로도 내 집 마련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조건은 신혼부부와 2030세대에게 실질적인 기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청약 규제도 상대적으로 완화돼 있습니다. 김포는 추첨제 비율이 높아 청약 가점이 낮은 청년층과 신혼부부에게 유리하며,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종부세 중과에서도 제외됩니다.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이 1년으로 짧고 실거주 의무가 없어 투자 매력도 큽니다.

 

분양시장 역시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풍무역세권에 공급된 주요 브랜드 아파트 견본주택에는 약 2만5천명이 방문했고, ‘김포풍무 호반써밋’은 평균 7.3대 1의 경쟁률로 마감했습니다. 올해 김포 내 분양 3개 단지의 1순위 청약통장 접수 건수는 총 2114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시세 또한 상승세를 보입니다. ‘풍무 센트럴 푸르지오’ 전용 84㎡는 6억3500만원에서 8억5000만원으로 올랐고, ‘한강메트로자이’ 역시 8억원대 거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부 단지는 2021년 호황기 수준의 호가를 회복했습니다. 현지 공인중개사들은 “대책 발표 이후 실수요자뿐 아니라 투자 문의가 급격히 늘었다”며 “이에 따라 매도인들도 호가를 자신 있게 조정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김포시는 올해 북변·사우·풍무동 일대에 약 2000가구 규모의 신규 아파트 공급이 예정돼 있습니다. 대표 단지는 ▲북변2구역 ‘칸타빌 디 에디션’(612가구, 전용 66~127㎡)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1071가구) ▲사우4구역 ‘지엔하임’(385가구) 등입니다.

 

특히 대원산업개발이 공급하는 ‘칸타빌 디 에디션’은 ‘우미린 파크리브’, ‘한강 수자인 오브센트’ 등 인근 단지 성공 사례의 뒤를 잇는 프로젝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향후 북변5구역 개발이 완료되면 총 7000가구 규모의 브랜드 타운이 조성될 전망입니다.

 

교통 접근성도 뛰어납니다. 김포골드라인 걸포북변역을 이용하면 김포공항역까지 16분, 마곡나루역까지 24분이면 이동 가능하며, 지하철 5호선 감정역(추진)이 개통되면 도보권 입지로 편의성이 더욱 높아집니다.

 

단지 구성은 중소형 4bay, 복층형 펜트하우스, 대형 테라스형 등으로 다양하며, 피트니스센터·실내골프연습장·작은도서관·게스트하우스 등 커뮤니티 시설이 조성됩니다. 또한 삼성물산의 스마트홈 플랫폼 ‘홈닉(Homeniq)’이 적용돼 생활 편의성이 강화됩니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팀장은 “김포는 서울 접근성과 비규제 혜택, 신축 브랜드 단지라는 3박자를 모두 갖춘 수도권 핵심 지역”이라며 “특히 김포 동부 지역의 신규 공급이 향후 수요를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