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산업 정책

수도권 전세시장 매물 급감…공공지원 민간임대가 대안으로 부상

입주 물량 감소·대출 규제 겹치며 세입자 부담↑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장기 안정성 갖춘 실질 대안으로 주목

 

수도권 전세시장이 빠르게 위축되고 있습니다. 경기도를 중심으로 전세 매물이 눈에 띄게 줄고 있으며, 가격은 되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여기에 대출 규제까지 겹치면서 세입자들의 주거 부담이 한층 커지고 있습니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경기도 전세 매물은 3개월 전보다 14.6% 감소했습니다. 같은 기간 인천은 21.9% 줄어드는 등 수도권 전역에서 전세 매물 품귀 현상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입주 물량 감소도 시장 불안을 키우고 있습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경기도 입주 예정 물량은 약 7만4700가구로, 전년 대비 35% 가까이 감소했습니다.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매물이 귀하다 보니 전세를 구하려는 세입자들 사이에 경쟁이 치열하다”고 전했습니다.

 

이 같은 상황 속에 전셋값은 꾸준히 오르고 있습니다. KB부동산 리브온 조사 결과, 올해 3분기 전국 전세가격은 0.21% 상승한 반면, 경기도는 0.26% 올라 전국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현장에서는 통계보다 체감 상승폭이 훨씬 크다는 반응도 나옵니다.

 

지난 6월 시행된 전세대출 규제도 전세난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보증금 6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의 전세대출이 제한되고, 주택담보인정비율(LTV)도 60%로 축소되면서 자금 마련이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이에 따라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이 세입자들의 현실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공공지원 민간임대는 시세 대비 85~95% 수준의 임대료로 최대 10년간 거주할 수 있으며, 임대료 인상률이 연 5% 이내로 제한됩니다. 장기 거주가 가능하고 초기 보증금 부담이 낮아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습니다.

 

전문가들은 전세난이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봅니다. 특히 1기 신도시 재건축과 정비사업으로 인한 대규모 이주 수요가 본격화되면 전세시장 불안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입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입주 물량 부족과 대출 규제가 맞물리며 전세시장의 구조적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럴 때일수록 공공지원 민간임대 확대가 세입자에게 가장 실질적인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주요 건설사들도 공공지원 민간임대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대우건설은 11월 경기도 파주에 ‘운정신도시 푸르지오 더 스마트’를 공급할 예정이며, 포스코이앤씨는 오산 세교2지구에서 ‘더샵 오산역아크시티’를 선보입니다. 이 밖에도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 회룡역파크뷰’, 신안건설산업의 ‘이천백사면 공동주택(가칭)’ 등 다수의 민간임대 사업이 분양을 앞두고 있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