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지주(회장 양종희)가 2008년 9월 29일 출범 이후 창립 17주년을 맞았습니다. 지난 17년간 국내외 금융시장 불확실성 속에서도 은행과 비은행 부문의 균형성장, 비용 효율화, 자본 건전성 제고를 통해 KB금융은 선도 금융그룹의 위상을 확고히 해왔습니다. 2025년 6월 말 기준 KB금융의 총자산은 781조원, 누적 당기순이익은 3조436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008년 4만7000원이던 주가는 현재 11만2700원으로 상승하며 창사 이래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저성장 고착화, 경기 둔화, 금융환경 변화 등으로 금융권의 역할은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습니다. 정부가 추진 중인 ‘생산적금융’과 ‘포용금융’ 기조 역시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것입니다. 양종희 회장은 29일 여의도 KB국민은행 신관에서 열린 창립 17주년 기념식에서 “금융을 통해 우리 사회의 미래를 열어가는 ‘국민의 금융그룹’이 되겠다”며 “KB는 소상공인과 청년, 취약계층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든든한 동반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양 회장은 “KB의 금융은 새로운 성장의 불씨가 되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그룹 내 역량을 하나로 모아 ‘생산적금융협의회’를
KB금융지주(회장 양종희)는 26일 정기주주총회 직후 열린 이사회에서 조화준 사외이사를 신임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했다고 밝혔습니다. 조화준 의장은 1957년생으로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회계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그는 KTF, BC카드 등 주요 기업의 최고재무책임자(CFO)를 거쳐 KT캐피탈 대표이사로 재직하며 풍부한 경영 경험과 재무 전문성을 쌓았습니다. KB금융은 “조 의장은 사외이사로서 활발한 의사소통과 뛰어난 문제해결능력을 보여왔으며, 이사회와 각 위원회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해왔다”고 설명했습니다. 조화준 의장은 금융 및 경영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이사회의 독립성과 투명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맡게 됩니다. KB금융은 올해에도 이사회 내 다양성을 확대하며 지배구조의 선진화를 지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여성 사외이사 비율은 42.8%(7명 중 3명)로, 이는 글로벌 주요 금융기관 수준에 부합한다고 회사 측은 밝혔습니다. 한편, 이날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는 조화준, 여정성, 최재홍, 김성용 등 4명의 사외이사가 재선임됐으며, 차은영 이화여대 교수와 김선엽 이정회계법인 대표가 새롭게 사외이사로 합류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