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은 일본 사무라이채권 시장에서 총 400억엔(약 3780억 원) 규모의 전환채권(Transition Bond)을 성공적으로 발행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사무라이채권은 일본 내에서 외국 기업이나 정부가 발행하는 엔화표시채권으로, 이번 발행은 사무라이채권 시장에서 전환채권 형태로 이뤄진 첫 사례입니다. 전환채권은 탄소배출량 감축과 친환경 전환 등 지속가능한 경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 조달 목적의 ESG채권 중 하나입니다. 이번 채권의 만기와 금리는 ▲2년물 1.322% ▲3.25년물 1.556% ▲5년물 1.732%로 확정됐습니다. 발행 과정에서 일본 내외 투자자들의 수요가 몰리며 발행 규모는 당초 계획보다 100억엔 늘어난 총 400억엔으로 확대됐습니다. 신한은행은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국제 전환금융 가이드라인에 따라 고탄소 산업의 에너지 효율 개선 및 친환경 전환 프로젝트 등 지속가능성 강화 목적에 한정해 사용할 계획입니다. 신한은행은 2020년 하반기 이후 총 13차례에 걸쳐 ESG채권을 지속적으로 발행하며, 국내 금융권 내에서 ESG 관련 시장의 선도적 지위를 확립하고 있습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발행은 사무라이채권
조정래 NH농협금융지주 부사장(미래성장부문)은 최근 “2025년을 농협금융이 ESG경영을 비즈니스에 실질적으로 접목하는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말했습니다. 농협금융에 따르면 조정래 부사장은 지난 9일 열린 ‘제1차 농협금융 ESG추진협의회’를 주관하며 “탄소저감기술과 기후기술기업에 대한 투자를 강화해 ESG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협의회는 서울 서대문 본사에서 지주와 계열사 ESG 담당 부서장들이 참석해 농협금융의 녹색금융·전환금융 추진계획과 해외 탄소배출권 비즈니스 사례 등 글로벌 ESG 동향을 함께 점검했습니다. 참석자들은 녹색기후기금(GCF) 연계 기후기술펀드의 우수 추진사례, 글로벌 금융사들의 ESG사업 벤치마킹 사례를 공유하며 향후 협력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조정래 부사장은 “탄소감축 산업구조로의 빠른 전환 흐름 속에 녹색금융 활성화와 전환금융 도입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계열사 모두가 뜻을 모아 녹색산업 금융혁신을 통해 ESG 선도금융의 새로운 기준을 세우자”고 당부했습니다. 농협금융은 최근 금융당국의 ‘녹색여신 관리지침’ 시행 이후 관련 세미나를 열고 녹색여신 적합성판단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ESG금융 체계 강화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