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오션플랜트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규모의 재생에너지 전시회에 참가해 해상풍력 분야의 기술 경쟁력을 세계 시장에 선보였습니다. 회사는 29일부터 31일까지 대만 타이베이 난강 전시센터에서 열린 ‘에너지 타이완 & 넷제로 타이완 2025(Energy Taiwan & Net Zero Taiwan 2025)’에 참가했다고 31일 밝혔습니다. ‘에너지 타이완’은 대만 대외무역발전협회(TAITRA)와 녹색에너지 및 지속가능성연합(GESA)이 공동 주최하는 전시회로, 재생에너지 및 넷제로 산업 분야에서 아시아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 올해 행사에는 Taiwan Solar Energy Corporation, Motech Industries, PVGSA, Synera Renewable Energy, CI Wind Power Development Taiwan, Ørsted, TÜV Rheinland 등 글로벌 주요 기업과 기관이 대거 참여했습니다. 또한 병행 개최된 ‘넷제로 타이완(Net Zero Taiwan)’에서는 탄소감축, 에너지 효율, 순환경제, 녹색금융 등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다양한 기술과 산업별 솔루션이 소개됐습니다. 행사 기간 동안 에너지랩
 
								현대건설이 국내 최초로 상업용 수전해 기반 청정수소 생산기지를 준공했다고 24일 밝혔습니다. 이번 사업은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상징적인 성과로 평가되며, 향후 수소 공급망 확대의 발판이 될 전망입니다. 준공식은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신재생에너지단지에서 열렸습니다. 현장에는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 권익현 부안군수, 김재영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 김형일 한국수력원자력 에너지믹스사업 본부장을 비롯해 지자체 및 유관기관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해 청정수소 시대의 출발을 함께했습니다. 이번 기지는 산업통상자원부가 2022년 추진한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됐습니다. 약 5000㎡ 규모 부지에 물 전기분해 기술을 적용해 수소를 생산하고 저장·공급할 수 있는 설비가 마련됐습니다. 현대건설은 수소 플랜트 전문 인력을 투입해 설계, 기자재 구매, 시공 전 과정을 총괄했습니다. 올해 말까지 시운전을 완료한 뒤 2026년부터는 하루 1톤 이상의 청정수소를 생산할 계획입니다. 이는 차량 약 150대를 충전할 수 있는 양으로, 생산된 수소는 부안군 내 연구시설과 충전소에 우선 공급될 예정입니다. 부안군은 해상풍력과 새만금 수상태양광 등 국내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카타르에서 자사 최대 규모의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따냈다고 17일 밝혔습니다. 이번 사업은 카타르 국영 에너지기업 카타르에너지가 발주한 총 2000MW 규모의 초대형 발전소 건설로, EPC 계약 금액만 약 1조4600억 원에 달합니다. 계약 서명식에는 삼성물산 오세철 대표이사 사장과 사드 알 카비 카타르 에너지부 장관 겸 CEO를 비롯해 양측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습니다. 발전소는 수도 도하에서 서쪽으로 약 80km 떨어진 듀칸 지역에 건설되며, 부지 면적은 27㎢로 서울 여의도의 9배에 해당합니다. 총 274만 장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될 예정이며, 2030년 준공 후에는 약 75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성물산은 태양 추적식 트래커와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는 인버터를 도입해 발전 효율을 극대화할 계획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카타르의 ‘국가 비전 2030’ 전략의 핵심으로, 신재생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앞당기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삼성물산은 이미 라스라판과 메사이드 지역에서 875MW 규모의 태양광 사업을 수행한 경험이 있으며, 이번 수주로 카타르 전체 태양광 발전 용량의 약 80%를 단독으로
 
								현대건설이 호주 전력망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습니다. 회사는 12일 서울 종로구 계동 본사에서 오스넷과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경수 현대건설 글로벌사업부장과 조나단 디실바 오스넷 인프라개발책임자 등 양사 주요 임원이 참석했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회사는 빅토리아주 전력망 안정화와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필요한 송변전 인프라 분야에서 설계·조달·시공(EPC) 경험을 공유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호주 전역 및 오세아니아 국가로의 공동 진출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방침입니다. 오스넷은 빅토리아주에서 전기와 가스, 송전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대표적 에너지 기업으로, 안정적 공급망 운영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시드니 지사를 세우고 남호주 주정부와도 협약을 체결하며 현지 기반을 넓혀왔습니다. 호주 정부가 추진하는 ‘Rewiring the Nation’ 정책은 국가 전력망 재편과 신재생 인프라 확충을 병행하는 국가 전략으로, 현대건설은 이를 중요한 사업 기회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회사는 태양광, 해상풍력, 수소 등 미래 에너지 분야로 협력 범위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김경수 글로벌사업부장은 “오스넷의
 
								DL건설은 한국수력원자원이 발주한 ‘홍천양수발전소 1·2호기 토건공사’를 수주했다고 25일 밝혔습니다. 이번 사업은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 확충과 전력망 안정성 제고를 위한 대규모 국책 프로젝트입니다. DL건설은 대우건설·효성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번 공사에 참여하며, 지분은 30%, 수주금액은 1846억원입니다. 사업은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풍천리 일원에서 추진되며, 300MW급 2기를 합쳐 총 600MW 용량의 순양수식 발전소를 건설합니다. 준공 목표 시점은 2032년 12월입니다. 주요 공사 범위에는 상·하부댐 축조, 지하발전소 및 발전수로, 각종 터널, 상부지 진입도로 건설이 포함됩니다. 특히 상부댐은 높이 92.4m·길이 564.2m, 하부댐은 높이 66.5m·길이 320m 규모로 조성되며, 발전수로와 지하발전소도 함께 건설됩니다. 양수발전은 전력 수요가 낮을 때 물을 상부 저수지로 끌어올렸다가 수요가 급증할 때 낙하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고, 전력 계통의 주파수 안정과 예비력 확보에 기여합니다. 또한 피크 수요 관리에도 효과적입니다. DL건설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재생에너지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