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3고 현상 장기화로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올해도 중소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 대출 지원에 더욱 힘쓸 예정이라고 17일 밝혔습니다. 기업은행은 올해 2월까지 중소기업 대출 순증 규모가 3조6000억 원에 달해 은행권 전체 순증 규모인 4조9000억 원 가운데 73.5%를 차지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순증액인 1조4000억 원보다 2조2000억 원, 약 2.6배 늘어난 수치로, 은행권 전체 순증 규모가 전년 대비 줄어든 가운데 기록된 성과라 더욱 주목됩니다. 지난해 기업은행은 중기대출 잔액과 시장 점유율 모두 사상 최고치를 달성한 바 있습니다. 이에 올해는 중기대출 공급 목표를 전년보다 4조 원 늘려 총 64조 원으로 잡고 자금 지원을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특히 소재·부품·장비산업 기업에는 22조 원, 창업기업에는 20조 원, 혁신성장 기업에는 15조 원 등 정책적으로 자금 수요가 높은 핵심 분야별 목표도 세워 지원에 박차를 가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기업은행은 대출 건전성 관리에도 만전을 기합니다. 경기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환위험이 큰 분야나 업종별 취약 부분을 찾아내고, 특별 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일 "대내외 리스크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금융당국은 시장안정을 위해 필요로 하는 충분한 조처를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복현 원장은 이날 '금융시장 점검회의'에서 "위험에 대비한 금융회사들의 손실흡수능력 확충과 함께 일시적으로 유동성 어려움을 겪는 정상기업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자금 지원하고 취약 차주를 살피는 노력도 해달라"고 당부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회사채와 금융시장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금융당국의 시장안정 조처를 설명하기 위해 마련한 이번 회의에는 KB국민은행장, 신한은행장, 미래에셋증권 대표이사, 하나캐피탈 대표이사, 현대캐피탈 상무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정부·감독당국의 시장안정화 조처가 시장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은행 등 대형금융사의 단기 금융상품 자산운용 확대 필요성을 제기했다. 중소형 금융회사에 대한 유동성 지원 정책이 실효성 있게 작동할 수 있도록 세부절차를 관리해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