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은행장 직무대행 안종혁)이 미주투자공사(IDB Invest)와 금융협력 관계를 강화합니다. 수출입은행은 27일, IDB 인베스트와 3억달러(약 4,200억원) 규모의 공동금융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IDB 인베스트는 미주개발은행(IDB) 그룹의 민간부문 투자 전문기관으로, 중남미와 카리브해 지역에서 민간기업의 성장 지원과 고용 창출, 기후변화 대응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향후 5년간 최대 3억달러 규모의 공동 금융을 진행하기로 했으며, 수출입은행의 개발도상국민간투자자금(PDIF) 등 다양한 금융수단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PDIF(Private-sector Development Investment Facility)는 수출입은행이 2024년에 신설한 개발금융(DFI) 전용 상품으로, 개도국의 민간 산업 성장을 촉진하고 경제협력 효과가 기대되는 프로젝트에 대출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수출입은행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인프라, 에너지, 디지털·AI 등 한국 기업이 강점을 가진 산업을 중심으로 협력 사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중남미 지역으로의 수출시장 다변화를 도모하고, 현지 민간부문의 자생적
한국수출입은행(은행장 직무대행 안종혁)은 행정안전부와 연계한 공공 마이데이터를 기업금융 절차에 접목해 ‘구비서류 제출 간소화 서비스’를 새롭게 운영하기 시작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이번 서비스는 기업 대출이나 각종 금융 지원을 신청할 때 필요한 행정서류를 한 번에 모아 제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입니다. 사업자등록증명, 국세 납세증명서, 표준재무제표증명,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 휴업 및 폐업 사실증명, 지방세 납세증명서, 중소기업확인서 등 8종의 서류가 대상에 포함됩니다. 그동안 기업들은 이 자료를 개별 기관에서 각각 발급받아 제출해야 했습니다. 수출입은행은 지난 2022년 비대면 전용 디지털 플랫폼을 마련하며 일부 서류의 전자 제출을 지원해 왔습니다. 그러나 세무서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발급하는 행정문서는 연계 범위가 제한적이고, 발급처가 다양해 기업들이 불편을 겪는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습니다. 은행은 이번 개선을 통해 업무 효율과 고객 편의가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은행 관계자는 “공공 마이데이터를 기반으로 행정정보를 자동 연계하면 기업이 빠르고 간단하게 서류를 제출할 수 있다”며 “정책금융을 보다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기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