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C현대산업개발이 서울 중랑구 상봉재정비촉진지구 9-I구역(옛 이마트 상봉점 부지)에 짓는 ‘상봉 센트럴 아이파크’의 정당 계약이 27일부터 29일까지 3일간 진행됩니다. 이번 단지는 지난 10월 15일 발표된 정부의 부동산 대책 이전에 입주자 모집공고 승인을 받아, 전매제한 및 대출규제가 기존 기준으로 적용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정부는 10.15 대책을 통해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으로 확대 지정하면서, 신규 분양 아파트의 분양권 전매제한을 3년으로 강화했습니다. 또한 중도금 대출을 40% 한도로 축소하고, 잔금대출은 분양가 구간별로 최대 2억~6억 원으로 제한했습니다. 하지만 ‘상봉 센트럴 아이파크’는 지난 9월 19일 입주자 모집공고 승인을 받아 이전 규제를 그대로 적용받습니다. 이에 따라 당첨자 발표일 기준 1년 후부터 분양권 전매가 가능하며, 기 보유자도 1회에 한해 전매할 수 있습니다. 대출 규제 역시 완화된 종전 기준이 유지돼, 금융 접근성이 유리한 단지로 평가됩니다. 앞서 이 단지는 평균 11.7대 1, 최고 19.9대 1의 경쟁률로 전 주택형이 마감되며 청약시장에서 높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
HDC현대산업개발은 서울 중랑구 상봉재정비촉진지구 9-I구역에서 공급하는 ‘상봉 센트럴 아이파크’의 1순위 청약이 전 주택형 마감됐다고 1일 밝혔습니다. 지난달 30일 진행된 청약 결과 평균 경쟁률은 11.7대 1, 최고 경쟁률은 19.9대 1을 기록하며 높은 열기를 보였습니다. 정부의 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서울 집값 상승세와 추가 규제 가능성이 맞물리면서 실수요자들의 ‘막차 심리’가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에 따르면, 이번 일반공급 113가구 모집에 총 1328건의 청약이 접수돼 평균 11.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그중 전용 84㎡A형은 22가구 모집에 439건이 몰려 최고 19.9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앞서 진행된 특별공급에서도 129가구 모집에 574건이 접수돼 평균 4.4대 1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생애최초 전용 84㎡A형은 16.2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초반부터 관심이 집중됐습니다. HDC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서울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실수요자들이 기회를 놓치지 않으려는 심리가 청약 열기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1일 진행되는 오피스텔 청약 역시 아파트 수준의
올 하반기 아파트 공급 물량이 상반기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7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에 따르면 전국에서 하반기에 분양 예정인 아파트는 총 156개 단지, 13만7796가구에 달합니다. 이는 올해 상반기 분양 물량인 7만1176가구의 두 배 수준입니다. 일반분양만 보면 하반기 공급량은 6만4697가구로, 상반기 5만1911가구 대비 약 25%가량 증가할 전망입니다. 특히 분양 일정이 이달과 오는 8월에 집중돼 7월에는 2만9567가구, 8월에는 2만5028가구가 공급될 예정입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8만9067가구로 가장 많습니다. 경기도가 5만7240가구로 공급이 가장 많고, 서울은 1만9623가구, 인천은 1만2204가구가 계획돼 있습니다. 서울에서는 서초구 ‘래미안 트리니원’(2091가구), ‘아크로드 서초’(1161가구), 은평구 ‘갈현1구역’(4329가구), 관악구 ‘신림2구역 재개발’(1487가구), 영등포구 ‘더샵 신풍역’(2030가구)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경기권에서는 광명 ‘힐스테이트 광명’(4291가구), ‘철산역 자이’(2045가구), 구리 ‘갈매역세권A1’(1794가구), 김포 ‘풍무역세권 B3’(1544가구),
서울의 분양 단지가 경기 불황 속에서도 ‘안전 자산’으로서의 입지를 다시금 입증하고 있습니다.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에 따르면 2024년부터 2025년 1분기까지 전국에서 분양된 단지는 총 308개로 집계됐습니다. 이 중 지방 물량이 165개로 전체의 53.6%를 차지했습니다. 수도권 지역의 1순위 청약 평균 경쟁률은 71.4대 1로, 지방 평균 경쟁률 7.0대 1과 비교해 10배 이상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경쟁률이 지방의 10배 이상이라는 수치는 ‘똘똘한 한 채’ 선호가 서울권에 집중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사상 처음으로 13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KB부동산 월간 동향에 따르면, 지난 4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3억2965만 원이었으며, 5월에는 13억4543만 원으로 한 달 새 1577만 원(1.18%) 상승했습니다. 이는 전국 평균 매매가격인 5억2543만 원, 수도권 평균 7억7018만 원과 비교해 월등히 높은 수준입니다. 반면 지방은 공급 과잉과 수요 위축으로 인해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의 지난 3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디에스종합건설과 대성베르힐건설은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고덕 강일 대성베르힐’의 분양을 이달 진행한다고 1일 밝혔습니다. 고덕 강일 대성베르힐은 고덕 강일지구의 마지막 민간분양 단지로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주변 시세 대비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됩니다. 이 단지는 상업·업무·교육시설이 새롭게 들어설 예정이어서 향후 주거 여건 개선에 대한 기대가 높습니다. 단지는 강동구 상일동에 지하 2층부터 지상 15층까지 13개 동, 613가구 규모로 조성됩니다. 전용면적은 84㎡와 101㎡로 구성됩니다. 서울지하철 5호선 강일역이 가까워 여의도, 광화문, 마곡 등 주요 도심으로 환승 없이 이동할 수 있습니다. 상일IC와 강일IC도 인접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올림픽대로 등을 통해 수도권은 물론 전국 각지로의 이동이 편리합니다. 교육환경 또한 장점입니다. 단지 앞에 강솔초교 강현캠퍼스(가칭)가 오는 2029년 3월 개교할 예정입니다. 인근에 강명초, 강명중, 강일고뿐 아니라 한영외국어고와 배재고 등 명문학군도 자리해 교육 여건이 우수합니다. 생활 인프라도 풍부합니다. 단지 인근에는 코스트코, 이마트, 스타필드 하남 등 대형 유통시설과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