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이 국내 최초로 블루수소 생산을 위한 이산화탄소(CO2) 포집·액화 통합공정 실증시설을 완공하며, 저탄소 기술 상용화에 본격 나섰습니다. 현대건설은 지난 14일 경기도 평택 수소특화단지에서 ‘CO2 포집·액화 실증시설 준공식’을 열고 친환경 에너지 전환과 수소경제 확산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행사에는 김태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 김재영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 등 주요 인사가 참석해 한국형 CO2 포집·액화 통합공정의 연구 성과를 공유했습니다. 이번 시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2년 국책과제인 ‘블루수소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CO2 포집·액화·활용 기술 개발’의 결과물입니다. 2년여 간의 연구와 현장 실증을 통해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했으며, 현대건설이 총괄 주관기관으로서 공정 설계·시공·운영을 모두 주도했습니다. 특히 국내 최초로 습식 포집 방식과 분리막 포집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통합공정을 구축했습니다. 이를 통해 수소 생산시설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연간 약 3만 톤의 CO2를 안정적으로 포집·액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완성했습니다. 현대건설은 이번 실증을 통해 포집 효율 90% 이상, 순도 95% 이상의 고순도 CO2 확보가 가
현대건설이 부유식 구조물을 활용한 탄소포집·저장(CCS) 기술을 앞세워 동남아시아 해양 유·가스전을 탄소저감 거점으로 전환하는 사업에 나섭니다. 회사는 지난 13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협약을 맺고, 42개월간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한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이번 국책 과제는 고갈된 유·가스전을 이산화탄소 저장소로 활용하기 위해 부유식 CO₂ 주입 시스템의 개념 설계와 FEED(기본설계) 기술을 확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총 연구비는 58억원이며, 현대건설이 주관사로 참여합니다. 한국석유공사, 미국선급협회(ABS), 서울대학교, 인도네시아 페르타미나 대학교 등 국내외 8개 기관이 함께합니다. 기존에는 해양 CCS가 고정식 구조물과 배관을 통해 주입하는 방식이 주류였으나, 저장 지점이 분산된 동남아 환경에서는 모듈형 부유식 설비를 순차적으로 이동·활용하는 방식이 경제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현대건설은 선박형 부유체뿐 아니라 세계 최초로 부유식 콘크리트를 활용한 CO₂ 주입 시스템을 개발해 기본설계승인(AIP)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고정식 대비 인프라 구축 비용을 약 25%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사업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