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그룹(회장 임종룡)은 지난해 11월 선보인 그룹 통합 플랫폼 ‘유니버설뱅킹 서비스’가 출범 6개월 만에 회원 수 100만 명을 돌파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유니버설뱅킹은 그룹 통합 모바일 앱인 ‘우리WON뱅킹’에서 은행, 증권, 카드, 캐피탈, 저축은행 등 계열사 서비스를 별도 앱 설치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우리금융은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확장해 왔습니다. 지난 4월에는 그룹의 알뜰폰 브랜드 ‘우리WON모바일’을 출시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했고, 6월에는 ‘우리WON MTS’를 통해 AI 기반 종목 추천 기능을 갖춘 국내 주식 거래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오는 12월에는 해외주식 거래 기능까지 추가해 금융투자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내년에는 새롭게 편입된 동양생명과 ABL생명의 핵심 서비스도 탑재됩니다. 이로써 그룹 전 계열사의 금융 서비스를 단일 플랫폼에서 모두 제공하는 완전한 유니버설뱅킹 체계가 구축될 전망입니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고객이 단일 플랫폼을 통해 금융생활 전반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며 “서비스 연계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서비스 확대는 실제 성과로도 이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은 13일 디지털 금융혁신과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 활용을 위해 자체적인 ‘AI 거버넌스’를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AI 거버넌스는 AI 서비스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보장하고 윤리적·법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종합 관리체계를 뜻합니다. KB국민은행은 AI 사용이 확대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2022년부터 AI 거버넌스를 준비해 왔습니다. 이번에 수립한 AI 거버넌스는 ▲AI 윤리기준 및 조직문화 ▲위험평가 프레임워크 ▲생애주기별 위험관리정책 ▲금융소비자 보호방안 등 4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됐습니다. 먼저 AI 윤리기준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도입·운영을 위해 임직원이 반드시 지켜야 할 기본원칙입니다. 모든 직원은 정기적으로 AI 윤리교육을 받아야 하며, AI 개발자는 별도의 개발가이드교육을 통해 책임성과 윤리의식을 높이게 됩니다. 위험평가 프레임워크는 AI 서비스가 가진 잠재적인 위험을 사전에 식별하고 관리하는 체계로, AI 서비스를 허용불가,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 등 4단계로 구분합니다. 위험도가 높은 AI 서비스는 보다 강화된 관리방안이 적용되며, 허용불가로 분류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