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아파트 공급 물량이 상반기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7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에 따르면 전국에서 하반기에 분양 예정인 아파트는 총 156개 단지, 13만7796가구에 달합니다. 이는 올해 상반기 분양 물량인 7만1176가구의 두 배 수준입니다. 일반분양만 보면 하반기 공급량은 6만4697가구로, 상반기 5만1911가구 대비 약 25%가량 증가할 전망입니다. 특히 분양 일정이 이달과 오는 8월에 집중돼 7월에는 2만9567가구, 8월에는 2만5028가구가 공급될 예정입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8만9067가구로 가장 많습니다. 경기도가 5만7240가구로 공급이 가장 많고, 서울은 1만9623가구, 인천은 1만2204가구가 계획돼 있습니다. 서울에서는 서초구 ‘래미안 트리니원’(2091가구), ‘아크로드 서초’(1161가구), 은평구 ‘갈현1구역’(4329가구), 관악구 ‘신림2구역 재개발’(1487가구), 영등포구 ‘더샵 신풍역’(2030가구)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경기권에서는 광명 ‘힐스테이트 광명’(4291가구), ‘철산역 자이’(2045가구), 구리 ‘갈매역세권A1’(1794가구), 김포 ‘풍무역세권 B3’(1544가구),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현지시간 1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행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 결정은 지난 1월에 이어 두 번째 연속 금리 동결입니다. 이에 따라 한국(2.75%)과 미국 간 금리차는 상단 기준으로 1.75%포인트 차이를 유지하게 됐습니다. FOMC는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경제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역시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연준은 이날 함께 공개한 점도표(dot plot)를 통해 올해 말 기준금리 중간값을 3.9%로 제시했습니다. 이는 현 기준금리를 감안할 때 향후 0.25%포인트씩 두 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것입니다. 지난해 12월에 발표한 전망치를 유지한 셈입니다. 이와 함께 연준은 올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7%로 낮췄습니다. 이는 지난해 12월에 제시한 2.1%보다 0.4%포인트 하향 조정된 수치입니다. 인플레이션 지표도 상향 조정됐습니다. 연준은 올해 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7%로 올렸고,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국내 부동산 전문가와 공인중개사들은 올해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전반적으로 내려갈 것으로 내다보면서도 수도권 주택 가격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16일 공개한 ‘KB 부동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택매매 가격은 0.2% 하락했습니다. 다만 지난해 2분기 이후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의 가격은 상승세를 이어가며 지역별로 상승 폭에 차이가 있었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2.0% 오르고 경기는 0.3%, 충북은 0.1% 상승했지만, 대구는 2.7%, 부산은 2.0%, 광주는 1.2% 각각 떨어졌습니다. 지난해 전국 주택매매 거래량은 64만2천 호로 전년 대비 15.8% 늘었지만 최근 10년 평균과 비교하면 66% 수준에 그쳤습니다. 전셋값은 지난해 전국에서 1.4%, 수도권에서 2.9% 올랐습니다. 연구소는 지난 1월 10일부터 24일까지 부동산 전문가, KB 협력 공인중개사, 자산관리 전문가(PB)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올해 주택매매 가격 전망에 대해 전문가의 62%, 공인중개사의 79%, PB의 62%가 “하락할 것”이라고 응답했습니다. 특히 각 그룹별로 가장 많이 선택된
지난해 12월 서울 지역 업무·상업용 건물의 거래 규모가 전월 대비 절반 이하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업용 부동산 데이터 기업 알스퀘어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업무·상업용 건물 총거래액은 1조5467억원으로, 전월 3조6919억원 대비 58.1% 감소했습니다. 같은 기간 거래 건수는 144건으로, 전월 164건 대비 12.2%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업무용 빌딩의 거래 건수는 10건으로 전월과 동일했지만, 거래액은 6598억원으로 전월 1조8507억원 대비 64.3% 급감했습니다. 상업용 빌딩은 131건이 거래돼 전월 150건 대비 12.7% 감소했고, 거래액은 8639억원으로 전월 1조5254억원보다 43.4% 줄었습니다. 지난해 연간으로 보면 거래 건수는 3월부터 증가세를 보이다가 9월 이후 조정기에 진입했고, 거래액은 분기 말마다 대형 거래가 집중되며 등락을 반복했습니다. 류강민 알스퀘어 리서치센터장은 “아직 시장 안정화 단계는 아니다”라며 “올해는 금리 인하 기대감이 투자심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한편 알스퀘어는 집합 건물과 지분 거래를 제외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계를 집계했으며, 업무용 빌딩은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기업 JLL 코리아는 올해 한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점진적인 개선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JLL 코리아는 20일 발표한 ‘상업용 부동산 시장: 2024년 회고 및 2025년 전망’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한국 시장이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도 회복탄력성을 보였다고 평가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는 물류 섹터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문에서 거래가 증가했으며, 특히 오피스 부문에서 대형 거래가 잇달아 성사됐습니다. 중소형 자산 거래 비중도 확대되었으며, 장기적인 사무공간 확보를 위한 전략적 투자자들의 활동이 눈에 띄었습니다. 스폰서 리츠를 통한 자산 매입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호텔과 리테일 부문도 투자심리가 회복되며 거래 규모가 개선됐고, 반면 물류 부문은 오피스 중심의 투자 이동으로 다소 위축됐습니다. JLL은 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라 한국은행의 추가 인하 가능성도 제기되며 자금 유입이 확대될 것으로 봤습니다. 오피스 부문은 공급 부족과 임대 활발로, 물류 부문은 공급 과잉 우려 완화로 반등이 기대됐습니다. 또한 향후 투자 다변화 측면에서 데이터센터, 코리빙, 시니어 하우징 등 새로운 부동산 자산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