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 박물관이 문화체육관광부의 ‘2025 대학박물관 진흥지원 사업’에 선정됐습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부산대 박물관은 ‘관부재판과 끝나지 않은 김문숙의 Her Story’를 주제로 특별 연합전시를 기획하며, 광복 80주년을 맞아 여성운동과 시민사회활동의 역사를 조명할 계획입니다. 대학박물관 진흥지원 사업은 대학박물관을 지역 문화 거점으로 활용하여 국민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대학박물관협회가 주관하는 이 사업은 서울 중심의 문화행사 집중도를 완화하고, 지역별 문화균형 발전을 도모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부산대 박물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광복 80주년 특별 연합전시’를 추진합니다. 특히, 일본 시모노세키와 부산을 오가며 진행된 ‘관부재판’과 이를 주도했던 여성운동가 고(故) 김문숙 이사장의 일대기를 중심으로 전시, 학술대회, 교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관부재판은 일본 재판부가 일본 정부의 잘못을 최초로 인정한 판결로, 2018년 개봉한 영화 허스토리의 모티브가 된 사건입니다. 부산대 박물관은 이를 통해 일본과의 근현대 문제뿐만 아니라 부산을 중심으로 진행된
기장군이 국내 유일의 지리적표시 등록을 받은 ‘기장쪽파’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핵심 영농 기술 교육을 실시합니다. 기장군(군수 정종복)은 오는 18일 기장군농업기술센터에서 관내 쪽파 재배 농업인을 대상으로 ‘고품질 쪽파기술 교육’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기장쪽파는 역사성, 유명성, 향토성 및 지리적 특성을 인정받아 지난 2018년 3월 제105호로 지리적표시 등록을 완료했습니다. 이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지리적표시를 획득한 쪽파로, 전국적으로 품질을 인정받고 있는 농산물입니다. 이번 교육은 지역 특화품목인 쪽파의 핵심 영농 기술을 보급하여 농업인의 소득을 증대시키고 지역 농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이번 교육에서는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양념채소연구소의 신재철 농업연구사가 강사로 초청되어 고품질 쪽파 생산을 위한 영농 기법을 강의합니다. 정종복 기장군수는 “농업인들이 영농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하고, 안정적인 농산물 생산과 농가 소득 안정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농업인의 교육 수요를 지속적으로 파악해 현장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기장군농업기술센터는 지난 2월 ‘농업(UP)
국립부경대학교(총장 배상훈)는 2025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사업에 소속 교수 17명이 선정됐다고 14일 밝혔습니다. 개인기초연구사업은 학문 분야별 특성에 맞는 개인 단위 연구를 지원하여 창의적 기초 연구 능력을 배양하고, 연구를 심화·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부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국립부경대는 이번 사업에서 ▲중견연구(유형1) 3명 ▲중견연구(글로벌형) 1명 ▲중견연구(도약형) 2명 ▲우수신진연구 10명 ▲세종과학펠로우십(국내트랙) 1명 등 총 17명의 교수가 선정됐으며, 이들은 3월부터 1년에서 최대 5년간 연구를 수행하며 연간 1억~3억 2천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습니다. 중견연구(유형1)에는 ▲신현호 교수(양식응용생명과학전공)의 ‘적·녹조 원인 미세조류의 유용 물질 탐색 및 바이오매스 확보 연구’ ▲김영목 교수(식품공학전공)의 ‘해양 미생물 유래 바이오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친환경 미생물 제어 및 산업 적용 기술 개발’ ▲김상단 교수(환경공학전공)의 ‘가뭄이 하천 수질 및 유역 식생에 미치는 영향 감시 연구’가 선정됐습니다. 중견연구(글로벌형)에는 김백민 교수(환경대기과학전공)의 ‘태풍 급강화를 초래하는 해상 분무의 역할에 관한 글로벌
부산대학교 도서관(관장 우균·컴퓨터공학부 교수)은 오는 20일 오후 2시 교내 새벽벌도서관 1층 새벽마루에서 소설가 김탁환 작가를 초청하여 강연을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강연은 ‘전쟁과 사랑: 화가 이중섭의 경우’를 주제로, 김탁환 작가의 신작 '참 좋았더라 - 이중섭의 화양연화' (2024, 남해의봄날)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강연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이 화가 이중섭의 예술과 삶에 미친 영향을 집중 조명하며, 가족과 예술을 향한 그의 깊은 사랑을 그림과 함께 탐구할 예정입니다. 김탁환 작가의 신작 '참 좋았더라'는 이중섭이 제주·부산·통영을 거치며 가장 왕성한 창작 활동을 펼쳤던 1950년대를 배경으로 합니다. 이 작품은 이중섭이 겪은 전쟁과 피란의 경험, 가족과 예술을 향한 깊은 애정을 조명하며, 그의 대표작 '소' 시리즈를 비롯한 걸작들이 탄생한 과정까지 생생하게 그려냅니다. 특히 부산은 한국전쟁 당시 이중섭이 머물렀던 장소 중 하나로, 피란 시절 가족과 떨어져 지내야 했던 상황 속에서도 예술을 향한 열정을 이어갔던 순간들을 이번 강연에서 되짚어볼 예정입니다. 김탁환 작가는 '불멸의 이순신', '나, 황진이', '허균, 최후의 19일'
유한양행(대표 조욱제)은 소아암 환아를 위한 ‘히크만 주머니’ 제작 봉사활동을 실시했다고 11일 밝혔습니다. 이번 활동은 환아들의 건강하고 위생적인 투병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기획됐으며 완성한 히크만 주머니는 사회적기업인 담심포를 통해 소아암환자들에게 전달됩니다. 히크만 주머니란 소아암 환아들이 항암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채혈이나 약물 및 수액 등을 주입하기 위해 몸에 삽입하는 의료용 고무관인 ‘히크만 카테터’를 보관하는 주머니입니다. 카테터는 치료 편의성은 우수하지만, 감염의 위험이 높아 위생적인 관리가 중요해 히크만 주머니(목걸이형)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판매처가 많지 않아 시중에서 구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유한양행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환아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지난해부터 히크만 주머니 제작 봉사활동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142명의 임직원이 참여해 총 200개의 히크만 주머니를 제작하여 기부할 예정입니다. 유한양행은 ‘건강한 내일, 함께하는 유한’이라는 사회공헌 슬로건 아래, 제약회사의 핵심역량을 활용해 환자와 건강취약계층을 위한 건강지원 사업 및 임직원들이 참여하는 다양한 나눔 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동양생명(대표이사 이문구)은 11일 자원선순환과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사랑애 PC나눔사업'을 주관하는 한국장애인정보화사업소에 1504대의 전산장비를 기부했다고 밝혔습니다. 기부장비는 PC 859대와 모니터 588대 그리고 노트북 57대로 학습이나 인터넷 이용이 가능합니다. 이 전산장비들은 서울시아동복지협회를 통해 아동양육시설과 지역아동복지센터로 전달돼 저소득층 아동·청소년과 장애인 교육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동양생명 관계자는 "정보접근성이 부족한 아동·청소년에게 새로운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자원선순환에도 기여하는 좋은 기회여서 참여하게 됐다"며 "동양생명은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ESG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 금융사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국립부경대학교(총장 배상훈)는 화학과 김연준 교수와 건축공학과 이규남 교수를 ‘혁신수업 운영 우수교원’으로 선정했다고 지난 11일 밝혔습니다. 국립부경대 교육혁신처(처장 원용선)는 매 학기 혁신수업 운영 우수교원을 선정해 시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교원들의 혁신수업 설계 역량을 강화하고 수업 개선 및 확대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번 선정은 지난 학기에 운영된 932개 혁신수업 교과목 담당 교원을 대상으로 운영 전략, 평가 방법, 우수 성과 등을 심사해 결정됐습니다. 김연준 교수는 문제중심학습(PBL) 방식을 적용한 ‘물리화학특강’ 강의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 해결 전략을 설정하도록 유도했으며, 학생들의 산출물을 학술지 논문과 연계하는 등 성과를 인정받았습니다. 이규남 교수는 팀기반학습(TBL) 방식으로 진행한 ‘건축급배수종합설계’ 강의에서 팀 단위 설계 및 제작 프로젝트를 운영했고, 수강 학생들이 프로젝트 성과물로 학술 콜로키움에서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국립부경대 교육혁신처는 문제중심학습, 플립러닝, 메이커교육, 액션러닝 등 9개 유형의 혁신수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혁신수업 모니터링 및 수강 후기 공모전을 운영해 강의 질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
국립한국해양대학교(총장 류동근)는 대학원장 국승기 해양경찰학부 교수가 국제항로표지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arine Aids to Navigation, IALA) WWA(World Wide Academy) 운영이사회 이사로 세 번째 연임됐다고 지난 11일 밝혔습니다. IALA는 최근 개최된 제1차 총회에서 WWA 운영이사회의 새로운 구성원을 발표했으며, 국 교수는 다시 한 번 이사직을 맡게 됐습니다. WWA 운영이사회는 해상 항로표지 교육과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관리·감독하는 기구로, 일본 해상보안청의 Tsuguo Awai 소장, 세계해사대학(WMU)의 Maximo Q. Mejia, Jr. 총장, 국제항로표지재단(IFAN)의 Catherine Mulvihill CEO 등 글로벌 해양 전문가들이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 국 교수의 3연임은 해양 안전 및 교육 분야에서의 공로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IALA의 Francis Zachariae 사무총장은 “국 교수님의 헌신과 리더십이 IALA의 목표 달성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국 교수는 “WWA 운영이사회의 일원으로서 전 세계
국립부경대학교(총장 배상훈)는 김민선 석사과정생(4차산업융합바이오닉스공학과)이 계기·계측(Instruments & Instrumentation) 분야 최상위 국제학술지 'Sensors and Actuators B: Chemical'(IF 8.0)에 논문을 게재했다고 지난 11일 밝혔습니다. 김민선 석사과정생은 미세유체용 시린지 펌프 개발 연구를 담은 논문 'Nonelectric syringe pump capable of programmable sequential reagent injection for automated microfluidic device operation'을 지난 2월 게재했습니다. 지도교수는 신중호 교수입니다. 'Sensors and Actuators B: Chemical'은 저널인용보고서(JCR) 기준 상위 0.7%에 속하며, 계기·계측 분야 76개 저널 중 최상위(1위) 학술지입니다. 김 석사과정생은 이 논문에서 여러 용액을 미세유체소자에 순차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무전력 시린지 펌프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미세유체소자를 구동하는 시린지 펌프는 크고 무거우며 전력을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부산광역시가 공동 주최하는 ‘2025 K-ICT WEEK in BUSAN’이 오는 7월 15일부터 17일까지 사흘간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행사는 국내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및 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로, AI를 비롯한 클라우드, 양자정보기술 등 미래 핵심 산업을 아우르는 다양한 기술과 제품이 선보일 예정입니다. 이 행사는 AI KOREA, IT EXPO BUSAN, 클라우드 엑스포가 통합된 형태로 진행됩니다. 지난해 행사에서는 201개 기업이 참가하고 489개 부스가 운영됐으며, 총 15,407명이 참관했습니다. 특히 구매자·바이어 상담회를 통해 현장에서 192억 원 규모의 계약이 체결됐고, 후속 조사 결과 추가로 144억 원의 매출이 발생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올해 행사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전략산업 및 인재 양성 관련 콘텐츠가 확대됩니다. 부산을 글로벌 인공지능 허브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며, 특히 아시아 최대 스마트시티 전시회인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WSCE)’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또한, 부산 지역 내 초·중·고 학생들이 직접 참여
국립부경대학교와 한양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당기면 색이 변하는 첨단 섬유 소재를 개발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립부경대학교 고분자공학전공 김대석 교수 연구팀과 한양대학교 엄영호 교수 연구팀은 ‘콜레스테릭 액정 엘라스토머(CLCE, Cholesteric Liquid Crystal Elastomer)’ 기반의 메카노 변색 섬유를 개발했습니다. 해당 섬유는 외부 힘에 의해 나노구조가 변하며 반사되는 색이 달라지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메카노 변색 기술은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시각적으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에서 무전력 시각 센서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CLCE 소재는 선명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으나 강한 외력이나 고속 변형에 취약해 실용화가 어려웠습니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 Plastic Elastomer) 섬유에 CLCE를 정밀하게 코팅하는 공정법을 개발했습니다. 이를 통해 높은 회복 탄력성을 갖춘 CLCE 기반 메카노 변색 섬유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개발된 섬유는 초당 8회 반복되는 60~100% 인장 범위에서 변형 없이 원래 상태로 복귀하는 뛰어난 인장-회복 특성을 보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