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금융 경제

케이뱅크, 3분기 순익 감소·고객 확대

3분기 순익 줄어도 고객 급증
여수신 성장하며 비이자이익 확대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는 올해 3분기 기준 누적 당기순이익이 103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15% 감소한 수준으로, IT 인프라 강화와 마케팅 지출이 늘며 비용이 확대된 영향이라는 설명입니다.

 

3분기 단독 실적도 둔화했습니다. 분기 순이익은 192억원으로 전년 동기의 절반 수준에 그쳤습니다. 회사 측은 운영비 증가가 실적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고객 확대 흐름은 뚜렷했습니다. 3분기 말 고객 수는 1497만명으로 1년간 300만명가량 늘었으며, 10월 초에는 150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같은 기간 수신 잔액은 30조4000억원, 여신 잔액은 17조9000억원으로 모두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

 

수신 중에서는 요구불예금의 역할이 컸습니다. 파킹통장 ‘플러스박스’는 연 최대 2.2% 금리를 기반으로 잔액이 지난 1년간 7조원에서 12조원으로 크게 불었습니다.

 

기업대출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개인사업자 대출 누적 공급액은 9월 기준 3조원을 초과했으며, 3분기 말 기업대출 잔액은 1조93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80% 이상 증가했습니다. 올해 여신 증가분 중 절반 가까이가 기업대출에서 발생해, 가계대출 비중이 점차 줄어드는 모습입니다.

 

수익 구조 역시 개선됐습니다. 여·수신 증가에 힘입어 이자이익은 지난해보다 늘어난 1115억원을 기록했고, 비이자이익은 MMF 운용수익 증가, 가상자산 거래에 따른 펌뱅킹 수수료 확대, 대출비교·플랫폼 광고수익 증가가 더해지며 229억원으로 크게 늘었습니다.

 

건전성 지표도 안정적 흐름을 보였습니다. 3분기 연체율은 0.56%로 3개 분기 연속 낮아지며 2022년 2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54%, BIS 자기자본비율은 15.01%로 규제 기준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순이자마진(NIM)도 전 분기보다 개선된 1.38%로 나타났습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외형을 키우면서도 고객 1500만명을 확보했고, 건전성도 개선되는 흐름을 만들었다”며 “생산적 금융과 디지털자산 혁신, AI 전환을 통해 성장 속도를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케이뱅크는 최근 한국거래소에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신청했으며, 내년 상반기 상장을 목표로 준비 중입니다. 2016년 설립 이후 2017년 영업을 시작한 뒤 2021년 첫 연간 흑자를 기록했고, 지난해에는 1281억원의 최대 실적을 올렸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