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

현대건설, 로봇기술 접목한 미래형 주차 솔루션 개발 나서

AI 기반 무인발렛 시스템으로 주차 효율 30% 향상
‘더 뉴 하우스’ 등 재건축·리뉴얼 사업에 적용 추진

 

현대건설이 로봇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주차 시스템 개발에 나서며 도심 주차난 해소와 공간 효율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현대건설은 지난 7일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현대위아 의왕연구소에서 현대위아와 ‘로봇주차 솔루션 공동개발 및 사업확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협약식에는 현대건설 기술연구원 김재영 원장과 현대위아 모빌리티솔루션사업부 백익진 상무 등 양사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습니다.

 

이번 협력은 도시 고밀화로 인한 주차난과 지하공간 활용의 비효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대안으로 추진됐습니다. 두 회사는 인공지능(AI) 기반 로봇을 활용해 차량을 자동으로 이동·정렬하는 ‘무인발렛 시스템’을 공동 개발해 주차 효율을 약 30% 높이고, 공동주택과 상업시설 등 다양한 공간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로봇주차 솔루션은 차량 하부에 로봇이 진입해 바퀴를 들어 올린 뒤, 최적의 위치로 이동해 주차를 마무리하는 방식입니다. 운전자의 별도 조작 없이 앱을 통해 작동되며, 센서 기반의 정밀제어 기술로 좁은 공간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됩니다. 또한 기존 자주식 주차장에도 별도 대형 구조물 설치 없이 손쉽게 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대건설은 국토교통부가 최근 발표한 ‘공동주택 오토발렛 주차장치 설치 허용’ 개정안에 맞춰, 내년부터 신규 재건축·재개발 단지는 물론 자사 리뉴얼 신사업 ‘더 뉴 하우스(THE NEW HOUSE)’에도 해당 기술을 단계적으로 적용할 예정입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로봇주차는 심화되는 도심 주차난의 실질적 대안이자 제도적으로도 도입이 가속화되는 신기술”이라며 “고객의 주차 편의성을 높이고, 로봇기술 기반의 스마트 주거·빌딩 환경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현대건설은 압구정2구역 재건축 현장에서 건설업계 최초로 ‘로봇 친화형 단지’를 조성 중입니다. 무인 셔틀과 퍼스널 모빌리티, 소방·충전 로봇 등을 결합한 피지컬 AI 플랫폼을 적용해 로봇과 사람이 공존하는 스마트시티 모델을 구현할 계획입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