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업 비즈

DL건설, 친환경 PET 섬유복합 숏크리트 신기술 개발

DL건설, 폐PET 활용한 친환경 숏크리트 기술 상용화
리바운드율 49.6%↓·비용 18.6% 절감으로 시공 효율 극대화
내구성과 친환경성 갖춘 차세대 터널 콘크리트 기술

 

DL건설이 터널 콘크리트 보강 기술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습니다. 회사는 24일, 헬릭스 구조의 PET 섬유복합체와 진동 분산시스템을 접목한 친환경 숏크리트(Shotcrete) 공법을 자체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기술은 유니온물산과 동해종합기술공사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완성됐습니다. 기존 강섬유 보강 방식에 비해 재료 분산성과 시공 효율, 내구성과 안전성을 모두 끌어올린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폐플라스틱(PET)을 재활용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줄이고, 자재비 부담도 낮췄습니다.

 

숏크리트는 압축공기와 함께 콘크리트를 분사해 구조물 표면을 보강하는 기술로, 터널이나 지하 구조물 공사에 널리 쓰입니다. DL건설이 개발한 신공법은 ▲진동 분산장치를 활용해 섬유복합체를 균일하게 투입하고 ▲부유나 뭉침을 방지해 품질 편차를 줄이는 방식입니다.

 

 

기존 섬유는 비중이 낮아 콘크리트 혼합 시 표면으로 뜨는 현상이 있었지만, DL건설 기술은 무게중심을 조정해 안정적인 혼합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또한 리바운드율(분사 시 재료 튕김 비율)을 약 49.6%까지 낮추고, 생산 비용을 18.6% 절감했습니다. 이로써 토양·지하수 오염 저감, 폐기물 처리비 절감, 탄소 배출 저감 등 친환경 효과도 입증했습니다.

 

 

강섬유의 단점이던 부식 문제도 해소했습니다. 수분이 많은 해저나 해안 인근 구간에서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 절감이 기대됩니다. 회사는 이 기술을 인덕원~동탄선 10공구와 옥정~포천선 2공구 등 실제 현장에 적용해 검증할 예정입니다.

 

DL건설 관계자는 “품질과 시공성, 경제성을 모두 확보하면서 친환경 요소까지 강화한 기술”이라며 “앞으로도 ESG 경영 실천과 지속가능한 건설기술 개발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