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금융 경제

우리금융,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 출범…5년간 80조원 투입해 생산적·포용금융 강화

우리금융, 80조 규모 미래성장 프로젝트 추진
생산적금융 73조·포용금융 7조 투자 계획
임종룡 회장 “금융의 본질적 역할 복원”

 

우리금융그룹이 향후 5년간 총 80조원을 투입해 대한민국 금융의 체질 전환에 나섭니다. 그룹 차원의 대형 프로젝트인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를 29일 공식 발표하며, 금융의 본질적 역할인 생산적금융 전환과 포용금융 확대를 핵심 방향으로 제시했습니다.

 

이날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그룹 자회사 최고경영자(CEO)들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수치 나열식 지원계획이 아닌, 금융의 방향성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실행 전략”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우리 경제가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서 금융이 뒷받침해야 할 역할은 명확하다”며 “기업의 성장잠재력과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금융자원을 재배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프로젝트는 2030년까지 총 80조원을 ▲생산적금융 73조원 ▲포용금융 7조원으로 나눠 집행합니다. 우선 생산적금융 부문은 ▲국민성장펀드 참여 10조원 ▲그룹 자체투자 7조원 ▲융자지원 56조원으로 구성됐습니다.

 

국민성장펀드는 정부가 추진 중인 첨단전략산업 육성기금으로, 총 150조원 규모로 조성됩니다. 이 가운데 우리금융이 10조원을 출자해 민간 금융권 최초의 참여 사례가 됩니다. 자금은 AI, 반도체, 바이오, 수소, 이차전지, 방산, 미래차 등 국가전략산업 기업의 투자와 연구개발에 투입됩니다.

 

그룹 자체투자는 공동펀드 1조원, 증권계열 모험자본 1조원, 자산운용사 중심 생산적금융펀드 5조원으로 구성됩니다. 융자 부문(56조원)은 ▲K-테크(Tech) 프로그램 19조원 ▲지역 첨단산업 육성 16조원 ▲혁신벤처 지원 11조원 ▲수출기업 육성 7조원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지원 3조원 등으로 세분화됩니다.

 

임 회장은 “우리금융은 기업과 사회의 성장을 함께 이루는 동반자로서, 다시 ‘기업금융 명가’의 명성을 회복하겠다”며 “첨단산업 중심의 투자금융을 강화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엔진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룹은 이번 융자를 통해 기업대출 성장률을 기존 4% 수준에서 10%까지 끌어올리고, 기업대출 비중을 현재 50%에서 60%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가계대출 중심의 영업구조를 첨단산업 중심의 기업금융 체계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임 회장은 “은행권이 ‘이자장사’라는 비판을 받는 근본 원인은 부동산금융에 치중한 결과”라며 “이 같은 지적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금융의 역할을 사회적 가치 중심으로 재편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포용금융 부문은 7조원 규모로, 서민금융대출·상생금융 확대와 소상공인 지원, 정부 연계 프로그램이 포함됩니다. 소상공인종합지원센터는 현재 6개에서 11개로 확대되고, 저신용자 대상 금리우대도 강화됩니다. 외부신용등급(CB) 7등급 이하 고객에게는 0.3%포인트, 은행 자체등급(CSS) 4~7등급 고객에게는 0.4%포인트, 8등급 이하 고객에게는 최대 1.5%포인트의 금리 인하 혜택이 제공됩니다.

 

또한 우리금융은 생산적·포용금융 확대에 따른 자본 안정성 저하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자산 포트폴리오를 조정합니다. 주택담보·임대사업자 대출을 줄이고 첨단전략산업 대출로 전환하며, 금융당국의 위험가중치(RW) 조정분을 생산적금융에 우선 반영해 자본건전성을 유지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그룹은 올해 말까지 보통주자본비율 12.5% 달성, 주주환원 확대 등 기존 밸류업 계획도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임 회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선언적 구호가 아닌 실질적 행동 계획”이라며 “126년간 대한민국 금융의 뿌리로서 국가경제 발전을 이끌어온 우리금융이 사명감을 갖고 혁신을 실천해 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