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등 5대 금융그룹이 미국발 관세정책으로 피해가 우려되는 국내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내년까지 총 95조원 규모의 금융지원에 나섭니다.
금융위원회는 3일 권대영 부위원회 부위원장 주재로 ‘미 관세대응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를 열고 5대 금융지주의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5대 금융지주는 올해 초부터 8월 말까지 수출기업 유동성 공급과 금융비용 경감 등을 통해 45조원을 지원했으며, 내년까지 50조원을 추가 공급해 총 95조원의 자금을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 지원 상품은 금리부담 완화, 수출·공급망 지원, 혁신성장 지원, 대기업 상생 대출 등으로 구성됩니다.

세부적으로 KB금융은 유망 성장산업 및 제조업 중소법인 대상 특별금리우대,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지역보증 특별출연 대출, 현대·기아차 협력사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했습니다.
신한금융은 미래혁신산업 중소기업을 위한 성장 지원대출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전용 상품을 출시했습니다. 하나금융은 자동차산업 수출경쟁력 강화 프로그램을, 우리금융은 수출기업 유동성 공급과 금융비용 절감을, 농협금융은 소부장 중심의 P-CBO 발행 확대와 대기업 협력업체 금리우대를 추진합니다.
금융지주사 관계자들도 실질적 지원 의지를 밝혔습니다. 박영준 KB금융지주 전무는 “단순 유동성 지원을 넘어 피해 기업과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투자와 사업구조 재편까지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고석헌 신한금융지주 부사장은 “중소기업에는 업종별 맞춤형 금융솔루션을 제공해 성장동력을 지켜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남호식 하나금융지주 상무는 “관세 충격 대응과 수출기업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현대차그룹과 협업해 자동차 산업 수출 경쟁력 제고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정수 우리금융지주 부사장은 “금융뿐 아니라 수출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까지 확대해 피해기업을 돕겠다”고 했습니다. 이재호 농협금융지주 부사장도 “농산업 밸류체인 전반에 대한 차별화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지원 규모도 중요하지만 피해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도움이 되어야 한다”며 “금융권이 책임감을 갖고 피해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