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은 지난 7일 발표한 잠정 실적에서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1조3880억원, 영업이익 109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663억원, 영업이익은 374억원 늘어나며 수익성 중심 경영 기조의 성과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DL케미칼은 고부가가치 스페셜티 제품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갔습니다. 특히 폴리부텐(PB)과 의료용 이소프렌(IR) 라텍스를 생산하는 자회사 카리플렉스의 매출이 증가하며 전체 수익 방어에 힘을 보탰습니다. 크레이튼 또한 주요 원재료 가격 하락이라는 부담 속에서도 견조한 스프레드를 유지하며 흑자 기조를 이어갔습니다. DL에너지는 미국 LNG 발전 부문에서 계절적 성수기 효과와 용량요금 상승이 반영되면서 분기 실적 개선을 주도했습니다. DL그룹 관계자는 “전력 수요 증가와 환율 효과가 맞물리면서 수익성이 눈에 띄게 개선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호텔 브랜드 글래드는 외국인 관광객 유입 확대와 국내 호캉스 수요 증가에 힘입어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습니다. 숙박업 전반의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객실 점유율과 평균 객단가가 함께 상승해 수익구조가 한층 강화됐습니다. DL㈜
DL㈜는 18일 ‘2025년 그룹 통합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2023년부터 매년 발간된 그룹 차원의 ESG 보고서 가운데 세 번째 버전입니다. 보고서에는 지주사인 DL㈜를 비롯해 DL이앤씨, DL케미칼, DL에너지, 글래드 호텔앤리조트, DL건설, 포천파워 등 6개 주요 계열사가 포함됐습니다. 올해는 포천파워가 새롭게 보고 범위에 추가돼 이해관계자와의 투명한 소통을 한층 강화했습니다. DL㈜는 올해 보고서에서 중대성 평가 방식을 손질했습니다. 환경·사회적 영향뿐 아니라 외부 요인이 기업의 재무 성과에 미치는 부분까지 함께 고려해 평가 체계를 재정비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환경·사회 분야 4개, 지배구조 분야 2개 등 총 6개의 핵심 이슈를 도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기후 시나리오 기반 분석을 확대해 석유화학, 건설, 에너지 등 주요 사업 부문별 위험 요인과 기회를 면밀히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리스크 대응 체계를 마련했습니다. 아울러 기후변화 관련 거버넌스, 전략, 관리 체계, 구체적인 목표와 지표를 함께 제시했습니다. DL그룹은 석유화학 부문에서 바이오 기반 원료와 재활용 플라스틱, 차세대 반도체 핵심 소재 개발을 추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