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이앤씨는 임직원들이 직접 도토리 씨앗을 키워 숲 조성에 참여하는 ‘집씨통(집에서 씨앗 키우는 통나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고 21일 밝혔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노을공원시민모임이 지난 2019년부터 추진해온 장기 생태 복원 프로젝트로, 시민과 기업이 함께 도토리 씨앗을 발아시켜 묘목으로 기른 뒤 서울 마포구 노을공원에 심는 것이 핵심입니다. DL이앤씨는 지난해부터 자발적으로 임직원 참여를 독려해왔습니다. 올해에도 구성원들은 도토리 화분을 사무실과 가정에서 가꾸며 묘목을 키웠으며, 최근 성장한 묘목을 노을공원시민모임에 전달했습니다. 회사 측은 오는 10월 말 직접 현장을 찾아 묘목을 심으며 생태계 복원에 힘을 더할 예정입니다. 캠페인에 참여한 한 직원은 “매일 조금씩 자라는 묘목을 보면서 환경 보호에 직접 기여하고 있다는 보람을 느꼈다”며 “작은 실천이지만 생태 회복에 보탬이 된다는 생각에 뿌듯했다”고 말했습니다. DL이앤씨는 환경·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을 폭넓게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번 ‘집씨통’뿐 아니라 ‘희망의 집 고치기’, ‘사랑의 빵 만들기’, ‘종이컵 제로 캠페인’, ‘탄소저감 활동’ 등도 병행해 임직원이 일상 속에서 ESG 경영을
조정래 NH농협금융지주 부사장(미래성장부문)은 최근 “2025년을 농협금융이 ESG경영을 비즈니스에 실질적으로 접목하는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말했습니다. 농협금융에 따르면 조정래 부사장은 지난 9일 열린 ‘제1차 농협금융 ESG추진협의회’를 주관하며 “탄소저감기술과 기후기술기업에 대한 투자를 강화해 ESG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협의회는 서울 서대문 본사에서 지주와 계열사 ESG 담당 부서장들이 참석해 농협금융의 녹색금융·전환금융 추진계획과 해외 탄소배출권 비즈니스 사례 등 글로벌 ESG 동향을 함께 점검했습니다. 참석자들은 녹색기후기금(GCF) 연계 기후기술펀드의 우수 추진사례, 글로벌 금융사들의 ESG사업 벤치마킹 사례를 공유하며 향후 협력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조정래 부사장은 “탄소감축 산업구조로의 빠른 전환 흐름 속에 녹색금융 활성화와 전환금융 도입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계열사 모두가 뜻을 모아 녹색산업 금융혁신을 통해 ESG 선도금융의 새로운 기준을 세우자”고 당부했습니다. 농협금융은 최근 금융당국의 ‘녹색여신 관리지침’ 시행 이후 관련 세미나를 열고 녹색여신 적합성판단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ESG금융 체계 강화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