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반기 서울 아파트 거래 중 15억원을 초과한 거래가 전체의 2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8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부동산R114는 2022년 하반기 서울에서 15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이 13.7%였으나, 지난해 23.8%로 10%포인트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정부가 스트레스 DSR 2단계를 시행하며 대출 규제를 강화했지만, 자산가 중심의 수요가 상급지 중심으로 몰리면서 고가 아파트 거래가 증가했습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작년은 서울 강남 3구와 경기 성남, 과천 등 ‘똘똘한 한 채’ 거래 집중이 뚜렷했다”며 “주택시장 변동성에도 안정적인 자산 가치 유지가 가능한 고가 아파트에 수요가 쏠렸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강남권 거래가 활발해지고 있어 앞으로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한편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수도권 아파트 매매는 총 20만1491건으로, 이 중 하반기에는 9만9634건이 이뤄졌습니다. 하반기 기준 금액 구간별 거래 비중은 △6억원 이하 56.3%로 가장 높았고, △6억 초과~9억 이하 22.1%, △9억
지난달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이 3.3㎡당 4000만원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직방은 지난달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의 3.3㎡당 평균 매매가는 전월 대비 5.2% 하락한 3996만원으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습니다. 자치구별로는 서초구가 3.3㎡당 7639만원으로 전월보다 12.6% 하락해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이어 강북구 5.9%, 관악구 5.6%, 은평구 4.3%, 강서구 3.7% 순으로 하락했습니다. 서초구는 1월 거래량이 전월 146건에서 87건으로 약 40% 감소하며, 고가 단지 거래 비중이 줄어든 영향으로 평균 거래가가 낮아졌습니다. 강북구와 관악구도 시세 대비 저렴한 매물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며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반면, 종로구는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31% 상승해 가장 큰 오름폭을 보였습니다. ‘경희궁자이3단지’ 전용 59㎡가 18억1500만원에 신고가로 거래되며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서대문구는 ‘e편한세상신촌’과 ‘신촌푸르지오’의 거래가 이어지며 10.7% 올랐고, 영등포구(6.3%), 용산구(5.8%), 도봉구(5.7%)도 상승했습니다. 면적별로는 전용 85㎡ 초과 구간의 가
올해도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 기조가 지속될 전망입니다. 오는 7월부터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가 본격 시행될 예정입니다. 스트레스 DSR은 대출 심사 시 차주의 상환 능력을 더욱 엄격히 평가하는 제도입니다. 기존 DSR에 스트레스 금리를 더해 대출 한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지난해 초부터 단계적으로 도입됐습니다. 1단계에서는 주택담보대출에 0.38%포인트의 스트레스 금리가 적용됐으며, 지난해 9월 2단계로 확대되면서 0.75%포인트로 상향됐습니다. 금융당국은 오는 7월부터 이를 1.5%포인트로 확대할 방침입니다. 예를 들어 연봉 1억원인 차주가 30년 만기의 분할상환형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경우, 2단계에서는 최대 6억400만원까지 가능했지만 3단계 시행 후에는 5억5600만원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이 같은 규제 강화는 주택시장에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스트레스 DSR 2단계 시행 이후인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11만8675건으로, 시행 전 3개월간의 14만5948건보다 약 18.69% 감소했습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실수요자의 주택 구매 부담이 한층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