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생명(대표이사 박병희)은 지난 20일 상반기 주요 경영실적을 점검하고 남은 기간의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5월 경영전략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회의는 전날 본사에서 진행됐으며 박병희 대표이사를 비롯해 임직원과 영업관리자 등 약 120명이 참석했습니다. 회의에서는 각 부문 부서장들이 대내외 금융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경영관리방안과 현장 중심의 영업체계 강화 방안 등을 공유했습니다. 또한 농업인의 실익을 높이기 위한 방안과 신계약 CSM 기반으로 한 상품별 마케팅전략, 손익목표 달성을 위한 자산군별 운용계획 등 핵심 추진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박병희 대표이사는 영업현장에 대한 지원을 통해 영업경쟁력을 더욱 높이고 농업인을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에 힘쓸 것을 당부했습니다. 아울러 전략적인 자산운용 계획과 소비자 보호, 내부통제 강화의 중요성도 강조했습니다. 박 대표이사는 “올 한 해 일심동행(一心同行)의 자세로 농업과 농촌의 상생 발전에 기여하는 보험사가 되도록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습니다.
이르면 오는 3분기부터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연금처럼 받아 노후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 11일 사망보험금 유동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사망보험금을 간병비나 생활비로 쓰고자 하는 수요가 늘어난 점을 반영한 정책입니다. 사망보험금 유동화는 연금형과 서비스형으로 나뉩니다. 연금형은 사망보험금 일부를 유동화해 매달 연금처럼 나눠 받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40세에 가입해 매달 15만1000원을 20년간 납입해 사망보험금 1억원 상당의 종신보험을 보유한 가입자가 있습니다. 이 가입자가 사망보험금 70%를 유동화해 20년간 지급받기로 하면 65세부터는 월평균 18만원, 80세부터는 월 24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남은 사망보험금 3000만원도 그대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이 상품은 보험계약대출과 달리 이자나 상환 부담이 없고 원하는 금액만큼 사망보험금을 남길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다만 유동화 실행 이후에는 다시 사망보험금으로 복원할 수는 없습니다. 서비스형은 현금 대신 건강검진이나 요양시설 이용 같은 서비스를 선택해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험사가 요양시설과 제휴해 유동화 금액을 입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