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이앤씨는 임직원들이 직접 도토리 씨앗을 키워 숲 조성에 참여하는 ‘집씨통(집에서 씨앗 키우는 통나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고 21일 밝혔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노을공원시민모임이 지난 2019년부터 추진해온 장기 생태 복원 프로젝트로, 시민과 기업이 함께 도토리 씨앗을 발아시켜 묘목으로 기른 뒤 서울 마포구 노을공원에 심는 것이 핵심입니다. DL이앤씨는 지난해부터 자발적으로 임직원 참여를 독려해왔습니다. 올해에도 구성원들은 도토리 화분을 사무실과 가정에서 가꾸며 묘목을 키웠으며, 최근 성장한 묘목을 노을공원시민모임에 전달했습니다. 회사 측은 오는 10월 말 직접 현장을 찾아 묘목을 심으며 생태계 복원에 힘을 더할 예정입니다. 캠페인에 참여한 한 직원은 “매일 조금씩 자라는 묘목을 보면서 환경 보호에 직접 기여하고 있다는 보람을 느꼈다”며 “작은 실천이지만 생태 회복에 보탬이 된다는 생각에 뿌듯했다”고 말했습니다. DL이앤씨는 환경·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을 폭넓게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번 ‘집씨통’뿐 아니라 ‘희망의 집 고치기’, ‘사랑의 빵 만들기’, ‘종이컵 제로 캠페인’, ‘탄소저감 활동’ 등도 병행해 임직원이 일상 속에서 ESG 경영을
서울시가 노들섬을 단순한 여가 공간을 넘어 전시와 공연, 휴식이 함께 어우러지는 ‘세계 예술섬’으로 재조성한다고 3일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이날 제11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용산구 이촌동 302의6 일대 노들섬의 ‘도시계획시설(문화시설)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습니다. 그동안 노들섬은 서측 공연장과 편의시설 위주로만 활용돼 왔으며 동쪽 숲과 수변 공간은 이용률이 낮았습니다. 시는 이번 사업으로 섬 전체를 문화예술공간으로 꾸며 도시계획시설로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입니다. 노들섬의 지상부는 기존 건물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시, 체험, 공연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다시 설계됩니다. 한강을 따라 조성되는 수변부에는 산책로와 수상정원, 미디어 설치물 등이 들어서 시민들이 자유롭게 예술과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뀝니다. 또한 동측과 서측을 연결하는 공중보행로에는 전시공간과 전망대가 만들어져 한강과 도심 전경을 한눈에 담을 수 있는 새로운 보행축 역할을 하게 됩니다. 동측 숲은 생태계를 교란하는 식물을 제거하고 자생수종 위주로 식생을 복원해 도심 속 생물 다양성을 높이는 ‘시민과 자연이 공존하는 숲’으로 거듭납니다. 서울시는 실시설계와 각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