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부동산 전문가와 공인중개사들은 올해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전반적으로 내려갈 것으로 내다보면서도 수도권 주택 가격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16일 공개한 ‘KB 부동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택매매 가격은 0.2% 하락했습니다. 다만 지난해 2분기 이후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의 가격은 상승세를 이어가며 지역별로 상승 폭에 차이가 있었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2.0% 오르고 경기는 0.3%, 충북은 0.1% 상승했지만, 대구는 2.7%, 부산은 2.0%, 광주는 1.2% 각각 떨어졌습니다. 지난해 전국 주택매매 거래량은 64만2천 호로 전년 대비 15.8% 늘었지만 최근 10년 평균과 비교하면 66% 수준에 그쳤습니다. 전셋값은 지난해 전국에서 1.4%, 수도권에서 2.9% 올랐습니다. 연구소는 지난 1월 10일부터 24일까지 부동산 전문가, KB 협력 공인중개사, 자산관리 전문가(PB)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올해 주택매매 가격 전망에 대해 전문가의 62%, 공인중개사의 79%, PB의 62%가 “하락할 것”이라고 응답했습니다. 특히 각 그룹별로 가장 많이 선택된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기업 JLL 코리아는 올해 한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점진적인 개선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JLL 코리아는 20일 발표한 ‘상업용 부동산 시장: 2024년 회고 및 2025년 전망’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한국 시장이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도 회복탄력성을 보였다고 평가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는 물류 섹터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문에서 거래가 증가했으며, 특히 오피스 부문에서 대형 거래가 잇달아 성사됐습니다. 중소형 자산 거래 비중도 확대되었으며, 장기적인 사무공간 확보를 위한 전략적 투자자들의 활동이 눈에 띄었습니다. 스폰서 리츠를 통한 자산 매입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호텔과 리테일 부문도 투자심리가 회복되며 거래 규모가 개선됐고, 반면 물류 부문은 오피스 중심의 투자 이동으로 다소 위축됐습니다. JLL은 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라 한국은행의 추가 인하 가능성도 제기되며 자금 유입이 확대될 것으로 봤습니다. 오피스 부문은 공급 부족과 임대 활발로, 물류 부문은 공급 과잉 우려 완화로 반등이 기대됐습니다. 또한 향후 투자 다변화 측면에서 데이터센터, 코리빙, 시니어 하우징 등 새로운 부동산 자산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