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항공모빌리티(AAM) 기업 플라나가 무인항공교통관리(UTM) 솔루션 업체 '원스카이'와 AAM 협력 생태계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습니다. 플라나는 이번 협약으로 원스카이가 주도하는 협력 생태계 '퓨처오브플라이트 프로그램'에 참여합니다. 해당 프로그램 항공기 및 드론 운영의 확장과 지원을 목표로 합니다. 해당 프로그램에는 버티포트 기업 '스카이포트', '볼라투스'를 포함해 레이더 개발사 '에코다인', '슈퍼널' 등 20여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플라나는 개발 중인 항공기 CP-01의 운영 개념을 검증하고, 기술 요구 사항 등을 조율한 기술 로드맵 구체화, 각국의 AAM 산업 규제 해결안 모색, 사업 모델을 발굴한다는 방침입니다. 양사는 원스카이의 영공 상황 인식, 항공 계획 및 시뮬레이션, UTM/UATM 솔루션과 플라나의 하이브리드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개발 및 제조 전문성을 융합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로버트 헴머트 원스카이 대표는 "양사의 노하우 공유와 협력을 통해 안전한 항공기 운영을 구현하고, AAM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안민영 플라나 부대표는 "이번 협력을 통해 AAM 항공기 운
오는 8월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물량이 동월 기준으로 2016년 이후 가장 적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서울의 경우 강남권에 2990가구 규모로 공급되는 대단지가 집들이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2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오는 8월 전국 아파트 입주예정물량은 임대를 포함해 총 2만7710가구로 나타났습니다. 권역별로 구분할 경우 수도권은 1만4103가구, 지방은 1만3607가구로 조사됐습니다. 전체 물량을 역대 8월 기준으로 볼 경우 지난 2016년 2만7488가구 이후 최저 물량입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도가 9790가구로 가장 많은 가운데 서울 3095가구, 인천 1218가구가 입주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서울은 서초구 반포동 일대 주요 아파트를 재건축해 대단지 규모로 공급되는 '래미안 원베일리(2990가구) 등 3개 단지에서 입주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래미안 원베일리'가 예정 시기대로 입주할 경우 서초구에서 2년 2개월 만에 1000가구 이상의 대단지가 입주하게 됩니다. 서초구에서 대단지가 입주한 가장 최근 시기는 지난 2021년 6월(서초그랑자이, 1446가구)이었습니다. 경기도는 화성시, 의왕시 등 남부권을 중심으로 입주가 예정돼 있으며
SK하이닉스[000660]는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수준을 높이기 위해 국내 기업 4사를 '기술혁신기업'으로 선정하고 협약식을 진행했다고 24일 밝혔습니다. '기술혁신기업'은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국산화를 해낼 잠재력이 높은 협력사를 선정해 집중 육성하는 SK하이닉스의 대표적인 동반성장 프로그램입니다. 회사는 2017년부터 매년 기술혁신기업을 선정해 올해 7기를 맞았습니다. 이번 기술혁신기업에 선정된 업체는 ▲반도체 소재, 원자재 회사 와이씨켐 ▲부품 회사 솔브레인 ▲장비 회사 ISTE, 코비스테크놀로지 등 4곳입니다. 선정 기업들은 최대 3년간 SK하이닉스와 공동 기술개발을 비롯해 기술개발 자금 무이자 대출 지원, 경영컨설팅 등 혜택을 제공받게 됩니다. SK하이닉스는 ▲와이씨켐과는 차세대 슬러리 개발에 나서고 ▲솔브레인SLD와 프로브카드 국산화 및 고도화 ▲ISTE와는 CVD 장비 국산화 ▲코비스테크놀로지와 하이브리드 웨이퍼 계측 장비 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SK하이닉스와 협력사들은 해외 의존도가 높은 장비, 부자재, 부품의 국산화 수준을 높인다는 방침입니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은"SK하이닉스와 국내 협력사들이 기술개발에 강
광동제약(대표 최성원)은 이탈리아의 희귀의약품 전문기업 ‘키에시’와 국내 독점 판매,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습니다. 이번 계약으로 광동제약은 키에시의 희귀의약품 3개 품목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유통 권리를 갖습니다. 계약 제품은 희귀질환인 레베르시신경병증에 적응증을 가진 ‘락손’과 파브리병 치료제 ‘엘파브리오’, 알파-만노시드 축적증 치료제 ‘람제데’ 총 3종의 글로벌 신약들입니다. 락손은 심각한 시력소실을 유발하는 레베르시신경병증에 적응증을 가진 오리지널 의약품으로 현재까지 제네릭이 없는 품목입니다. 엘파브리오는 유전질환 파브리병에 효능을 지니며 동일 적응증 제품군 내 최초로 식물 세포 유래 재조합 단백질을 사용했습니다. 람제데는 알파-만노시드 축적증에 승인된 유일한 치료제로 2022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KoNECT)이 선정한 ‘국내 도입이 시급한 글로벌 신약’ 5위에 선정된 바 있습니다. 광동제약은 이번 국내 파트너십 체결을 계기로 키에시의 다양한 라인업을 한국 시장에 선보일 계획입니다. 최성원 광동제약 대표이사는 "키에시와의 전략적 제휴가 전문의약품 사업 역량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희귀질환을 앓고있는 환자들의
삼성전자[005930]는 89형 마이크로 LED 모델을 국내 시장에 출시한다고 23일 밝혔습니다. '마이크로 LED'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LED가 백라이트나 컬러필터 없이 스스로 빛과 색을 내는 제품입니다. 모듈 형태로 설치가 가능해 모양·비율·크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기존 TV와 달리 베젤이 없다는 것도 특징입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중국에 110형 마이크로 LED를 출시한 데 이어, 지난 4월 개최된 중국 최대 가전전시회인 AWE에서 89형 마이크로 LED를 처음 선보인 바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89형 마이크로 LED 출시를 기념해 이 달 말까지 제품을 구매하면 500만 삼성전자 멤버십 포인트에 더해 85형 더 프레임과 HW-Q990C 사운드바 패키지, 더 프리스타일 풀 패키지를 증정한다고 밝혔습니다. 89형 마이크로 LED의 국내 출고가는 1억 3000만원입니다. 황태환 삼성전자 한국총괄 부사장은 "89형 모델을 시작으로 76ㆍ101ㆍ114형까지 마이크로 LED 라인업을 확대해 소비자의 초프리미엄 TV 선택지를 넓히고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초격차를 유지해 시장을 선도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DL이앤씨[375500]가 올해 도시정비사업 '1조 클럽' 가입에 성공했습니다. 24일 DL이앤씨에 따르면, 지난 22일 사업비 5401억원 규모의 부산 중동5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수주에 성공하며 올해 도시정비 누적 수주액 1조1824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중동5구역은 재개발을 통해 지하 3층~지상 37층, 6개동, 총 1149가구 아파트 및 프리미엄 상가 등으로 탈바꿈할 예정입니다. 착공은 2026년 6월, 준공은 2029년 10월로 예정돼 있습니다. 중동5구역은 해운대 바다조망을 누릴 수 있고, 지하철 2호선 중동역, 부산-울산고속도로 등의 교통인프라 및 대형마트, 백화점, 병원 등 풍부한 인프라를 갖춘 지역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신해운대역 KTX이음 정차역 추진, 오시리아 관광단지 개발 등 미래 가치도 겸비한 곳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DL이앤씨는 자사 프리미엄 주거 브랜드인 '아크로'를 도입하고 지역명인 해운대를 결합해 단지 이름을 '아크로 해운대'로 제안했습니다. 차별화된 프리미엄 단지를 구축하고자 ‘칼리슨 알티케이엘’과 ‘에스더블유에이’ 등 세계적 건축기업과 협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외관 디자인과 조경은 해외 고급 리조트를 연상시키는 형태로 조성
KT는 KT 클라우드와 함께 'AI 풀스택' 사업을 위해 인프라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 '모레'에 150억원 투자를 진행한다고 23일 밝혔습니다. 이번 투자는 지난 2021년 모레 초기 투자에 이어 두 번째로 집행된 투자로 KT가 100억원, KT클라우드가 50억원을 투자합니다. KT는 KT클라우드, 모레, 리벨리온 등 AI 반도체 생태계를 담당하는 기업과 함께 국내 순수 기술 기반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아우르는 'AI풀스택' 전략을 실행해왔습니다. AI 풀스택은 AI 반도체와 클라우드 등 인프라부터 고객에게 제공되는 AI응용 서비스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제품과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KT는 "외산 GPU 의존도를 극복함과 동시에 중장기 AI 역량을 확보하고 국가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모레, 리벨리온과 협력을 진행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모레는 AI인프라 소프트웨어 전문 스타트업으로 ▲AI 인프라 소프트웨어 스택과 ▲AI 클러스터/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외산과 동일한 개발환경을 제공해 GPU 의존도와 종속성을 해결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KT는 모레의 기술력과 KT 클라우드 인프라를 융합해 종량제 GPU 서비스 '하이퍼스케일 AI
현대건설[000720]이 국내외 주요 사업 추진 본격화 등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4일 현대건설의 올해 상반기 연결 실적 집계자료에 따르면, 매출 13조1944억원, 영업이익 3971억원, 당기순이익 362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5.7%, 영업이익은 14.5% 증가한 수치입니다. 현대건설 측은 "사우디 네옴 러닝터널, 파나마 메트로 3호선, 폴란드 올레핀 확장공사 등 국내외 대형 공사가 본격화되고 국내 주택부문 실적이 반영됨에 따라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현저한 증가세를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상반기 연결 신규 수주는 20조7270억원을 기록하며 연간 수주 목표인 29조900억원의 71.3%를 달성했습니다. 해외 수주액의 경우 사우디 아미랄 패키지 1·4 등 메가 프로젝트 수주에 힘입어 전년 동기보다 268.3% 증가한 11조423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수주잔고는 지난해 말 대비 7.8% 상승한 95조2852억원을 기록해 약 4.5년치의 일감을 확보했습니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은 4조3184억원, 순현금은 2조1363억원을 확보 중입니다. 지불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