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

국립부경대-KIST, 바닷물로 전기 생산 가능한 웨어러블 센서용 하이드로겔 개발

차세대 웨어러블 센서 기술 혁신 기대
친환경 재생에너지 기술로서의 가능성도 확인

 

국립부경대학교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 연구팀이 바닷물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차세대 웨어러블 센서용 하이드로겔을 개발했습니다. 이 연구는 화학공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Chemical Engineering Journal'에 게재되며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김용현 국립부경대 디스플레이반도체공학전공 교수와 KIST 김민석 박사 연구팀은 전도성 고분자 소재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및 폴리비닐 알코올(PVA)과 결합해 새로운 하이드로겔을 개발했습니다.

 

연구팀이 개발한 하이드로겔은 뛰어난 전기 전도도와 기계적 강도를 갖추고 있으며, 피부 부착형 웨어러블 센서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신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어 실시간 생체 신호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AI 분석을 통해 높은 정확도를 입증했습니다. 이 기술은 의류와 결합해 더욱 편리한 의료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연구팀은 해당 하이드로겔이 단순한 웨어러블 센서를 넘어 친환경 재생에너지 소재로도 활용될 가능성을 검토했습니다. 연구 결과, 하이드로겔 내 수분과 바닷물의 이온 농도 차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음이 확인됐으며, LED를 밝힐 수 있는 수준의 전압을 생성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김용현 교수는 “전도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갖춘 이 하이드로겔은 인체와 자연스럽게 융합되는 웨어러블 기기 개발 및 소프트전자공학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김민석 박사는 “자연의 염분을 활용한 전기 생산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발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