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슈+

부산대, 전신 부작용 없는 '경구용 대장암 치료제' 전달체 개발

sol-gel-sol 기술 활용, 암조직만 정밀 타격
전신 투여 한계 극복한 신개념 플랫폼

 

부산대학교 제약학과 유진욱 교수 연구팀이 전신 부작용 없이 대장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 전달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경구투여를 통해 위에서 약물을 보호하고 대장에서만 선택적으로 방출되도록 설계된 스마트 전달체를 통해, 기존 항암제의 단점인 전신 부작용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유 교수팀은 sol-gel-sol 전환 기술과 암세포 특이적 나노복합체를 결합한 약물 전달체를 개발했으며, 대장암 동물 모델을 통해 암조직 선택적 약물 분포와 종양 억제 효과를 검증했습니다.

 

이 전달체는 위의 산성 환경에서 gel 상태로 전환돼 나노복합체를 보호하고, 대장에서 pH 변화에 따라 sol 상태로 변해 약물을 방출하도록 설계됐습니다. 특히 암세포 내 특정 효소에 반응해 약물이 방출되도록 해, 건강한 조직은 보호하면서도 강력한 항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염증성 장 질환이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등 다양한 대장 질환의 정밀 치료제로도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유진욱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단순한 대장암 치료를 넘어 국소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이라며 “이 기술이 환자들의 삶의 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 및 세종과학펠로우십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월 1일자에 게재됐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