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산업 정책

구리시 서울 편입 논란에 GH 이전 절차 전면 중단

경기도, 구리시 편입 추진에 강경 대응
백 시장 “시민 의견 우선…GH 이전 계속 준비”

 

경기도가 경기주택도시공사(GH)의 구리시 이전 계획을 전면적으로 멈췄습니다. 구리시가 서울시로 편입을 추진하고 있어 경기도의 입장이 강경해졌다는 분석입니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지난 21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백경현 구리시장이 GH 이전과 서울 편입을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고 부지사는 “구리시가 서울에 편입되면 경기도 산하기관인 GH가 그곳으로 이전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그는 “GH 구리시 이전은 경기북부 전체를 새 성장축으로 키우기 위한 상징적 조치였다”며 “백 시장은 개인 정치적 이득을 위해 시민 간 갈등을 부추기지 말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구리시가 편입 시도를 멈추지 않으면 GH 이전은 완전히 백지화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고 부지사는 오세훈 서울시장을 향해서도 “구리시와 김포시의 서울 편입 논의가 지방분권 강화에 부합한다고 생각하느냐”며 “서울시는 지역 갈등을 키우는 편입 주장을 조속히 포기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백 시장은 지난해 7월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시민 여론조사를 거쳐 서울 편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구리시는 지난해 7월 시민 7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66.9%가 편입에 찬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GH 이전은 지난 2021년 경기도 공모에서 구리시가 대상지로 선정되면서 본격 추진돼 왔습니다. 토평동 일대 9600㎡ 부지에 지하 3층·지상 19층 규모로 본사 신축이 계획됐으며, 2026년까지 경영진과 주요부서 인력을 먼저 이전하고 2031년까지 이전을 마칠 계획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백 시장은 “서울 편입은 결정된 사안이 아니라 시민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기초 자료를 준비 중인 단계”라며 “경기도가 산하기관 이전 약속을 지켜야 행정 신뢰가 유지된다”고 반박했습니다.

 

일부 경기도의원과 남양주시 의회, 시민단체 등은 구리시의 편입 논의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GH 이전이 적절한지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백 시장은 “경기북부 균형발전이라는 공동 목표로 실무협의를 이어오고 있었는데 갑작스런 중단 결정은 매우 당황스럽다”고 덧붙였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