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산업 정책

오세훈 시장 “서울을 글로벌 AI 혁신도시로”…양재에 'AI 테크시티' 조성

서울 AI 테크시티, 2028년 착공 목표
AI 인재 양성 및 글로벌 산업 거점 추진

 

오세훈 서울시장은 11일 “글로벌 인공지능(AI) 혁신도시 서울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오 시장은 이날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AI SEOUL 2025’ 콘퍼런스에 참석해 “모든 산업을 AI 중심으로 육성하고 재편하겠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서울시는 AI 산업 육성을 위해 ▲인재 양성 ▲인프라 조성 ▲투자 확대 ▲산업 간 융복합 ▲글로벌화 ▲시민 확산 ▲행정 혁신 등 7대 핵심 과제를 제시했습니다.

 

우선 연간 1만 명의 AI 인재 양성을 목표로, 청년취업사관학교에서 4천 명, 대학을 통해 6천 명의 인력을 길러내겠다는 계획입니다. 올해부터는 이공계 석사과정을 대상으로 한 장학금 제도도 새롭게 운영해 매년 확대할 예정입니다. 해당 제도는 총 6억 원 규모로, 60명을 지원합니다.

 

서울시는 양재에 ‘서울 AI 테크시티’를 조성합니다. 지난해 5월 개관한 AI 허브의 10배에 달하는 규모로, 오는 2028년 착공을 목표로 추진됩니다. 테크시티는 국내외 대학원과 세계적 연구기관뿐 아니라 문화 및 주거 공간을 결합한 ‘직·주·락’ 복합공간으로 설계됩니다.

 

서울시는 양재 일대를 AI 산업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해 택지 지구단위계획 변경, AI 특구 지정 등 기반 마련에 힘써 왔으며, 지난해 5월에는 기술창업 육성 및 산업 지원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는 ‘서울 AI 허브’를 개관한 바 있습니다.

 

‘서울 AI 테크시티’는 양곡도매시장 부지와 공공기여 자원을 활용해 인재·기술·문화·생활이 융합된 글로벌 AI 산업 거점으로 조성될 예정입니다.

 

서울시는 향후 2년간 AI 산업에 약 5천억 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특히 생성형 AI 모델 학습과 추론에 필요한 GPU 등 컴퓨팅 자원의 제공을 확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아울러 서울시는 AI 기술과 타 산업 간 융합을 강화하고,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국내 AI 기업의 경쟁력 제고 및 해외시장 진출도 지원할 방침입니다.

 

오세훈 시장은 “글로벌 AI 3대 강국의 중심으로 서울이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BF 법률상식

더보기

BF 세무상식

더보기

BF 분양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