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군은 정종복 군수가 지역건설업 활성화를 위해 주요 공사현장을 방문했다고 24일 밝혔습니다. 정 군수는 지난 20일 군 대형 공공사업인 ‘대변~죽성교차로간 도로개설공사’ 현장을 찾아 지역업체의 참여 현황을 점검하고 건설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했습니다. 이날 현장에서는 관계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지역 건설업체의 참여 확대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또한 ‘장안 치유의 숲 진입도로 개설공사’ 등 주요 공공사업의 현장 관계자들도 참여해 지역 건설업체와의 상생협력 방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습니다. 기장군은 이번 현장방문을 계기로 지역건설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실질적인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정 군수는 “대형 공사에 하도급 수주 등 관내업체의 참여가 확대되면 지역경제가 선순환 구조로 이어질 수 있다”라며 “건설 현장에서 지역 업체들이 더욱 활발하게 참여하고 지역 자재와 장비 사용, 인력 고용 등을 통해 지역 경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각별히 배려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현대건설이 중소 협력사들과 함께 건설 현장 내 안전보건문화 정착을 위한 활동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대건설은 지난 16일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제5회 전공정 무재해 협력사 시상식’을 열고, 2024년 하반기 우수 협력사 22곳에 총 1억7000만원의 상금을 수여했다고 20일 밝혔습니다. 이 포상제도는 2022년 도입된 ‘안전관리 우수 협력사 포상제도’의 일환으로, 중소 협력사의 안전의식 제고와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현대건설은 반기마다 사업장 내 하도급 공정 종료까지 무재해를 달성한 협력사를 선별하여 포상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누적 수상 협력사는 178개사, 상금은 총 14억3000만원에 이릅니다. 이와 함께 현대건설은 근로자 자율 예방체계 확산을 위해 모바일 플랫폼 ‘H-안전지갑’과 ‘안전신문고’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협력사 주도의 안전보건관리체계 정착을 위한 안전보건 컨설팅, 인센티브 제공 등 다양한 제도를 통해 현장 안전수준 제고에 힘쓰고 있습니다.
중견건설사 신동아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했습니다. 법원에 따르면 신동아건설은 6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습니다. 신동아건설은 1977년 설립된 회사로, 지난해 시공능력평가에서 58위를 기록했습니다. 자체 주택 브랜드 ‘파밀리에’를 보유하고 있으며, 주택사업 중심으로 운영돼 왔습니다. 이번 법정관리 신청은 지속된 건설경기 침체와 분양 부진에 따른 자금난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신동아건설의 지난해 말 기준 부채비율은 409.8%로 전년 말 대비 73.34%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업계 적정 수준인 200%를 크게 웃도는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보유 현금은 345억원에서 248억원으로 17.68% 감소했습니다. 신용보증기금의 기업등급도 상장폐지 직전 단계인 ‘관찰’ 수준으로 분류됐습니다. 신동아건설은 유동성 위기 극복을 위해 최근 주요 단지 분양에 속도를 냈으나, 인천 검단신도시 ‘파밀리에 엘리프’와 의정부 ‘의정부역 파밀리에Ⅱ’ 모두 청약 미달을 기록했습니다. 법정관리 신청에 따라 전국 30여 개의 신동아건설 시공 현장에도 공사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현장에는 서울 남산 곤돌라 조성사업, 경기 광명학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