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은 7월 31일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미국 민간 에너지 개발사인 페르미 아메리카와 ‘첨단 에너지 및 인텔리전스 캠퍼스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협약은 미국을 포함한 북미 지역의 에너지 수요 확대에 대응하고, 원자력 및 신재생 에너지를 융합한 하이브리드 전력 프로젝트 개발을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한 협력 기반을 마련하는 차원입니다. 양사는 설계, 시공, 투자 등 에너지 인프라 전반에 걸쳐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페르미 아메리카는 미국 에너지부 전 장관 릭 페리가 공동 창립한 회사로, 기가와트 단위의 전력을 AI 인프라에 공급할 수 있는 차세대 전력망 구축을 추진 중입니다. 특히, 대규모 AI 데이터센터의 안정적인 전력 수요 대응을 위한 전력망 조성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원자력 기반의 하이브리드 에너지 사업을 공동 개발하고, 실증 운영 플랫폼 마련과 함께 고도화된 전략 이슈 대응을 위한 공동 대응 체계도 마련할 계획입니다. 핵심 프로젝트는 미국 텍사스주 아마릴로 외곽 약 2335만㎡(707만 평) 규모의 부지에 조성되며, AP1000 모델의 대형 원전 4기(총 4GW), 소형
대한민국 산업수도로 불리는 울산이 기존 자동차·조선해양·석유화학 등 주력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신재생에너지와 인공지능 산업까지 아우르며 지역 경제 재도약에 나서고 있습니다. 1960년대 울산공업센터 출범 이후 국가 기간산업의 핵심지로 성장해온 울산은 현재 세계 최대 단일 규모를 자랑하는 현대자동차 울산공장뿐만 아니라 미포국가산업단지에 약 7조원을 투입해 국내 최대 AI 데이터센터 건립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9년 완공 예정인 이 데이터센터는 자율주행차, 산업용 로봇 등과 기존 산업 인프라가 융합돼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편, 금융위기 이후 침체를 겪었던 조선해양업계는 전 세계 친환경 정책 강화로 다시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울산에는 HD현대중공업을 중심으로 580여 개의 조선업체가 밀집해 있어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석유화학업계 또한 약 9조원이 투입된 ‘샤힌 프로젝트’를 통해 세계 최초로 TC2C 기술을 상용화하고, 연간 180만 톤 규모의 에틸렌을 생산하는 대형 공장이 내년 상반기 준공될 예정입니다. 울산시는 전통산업과 함께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한국남부발전과 함께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