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서울 지역 업무·상업용 건물의 거래 규모가 전월 대비 절반 이하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업용 부동산 데이터 기업 알스퀘어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업무·상업용 건물 총거래액은 1조5467억원으로, 전월 3조6919억원 대비 58.1% 감소했습니다. 같은 기간 거래 건수는 144건으로, 전월 164건 대비 12.2%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업무용 빌딩의 거래 건수는 10건으로 전월과 동일했지만, 거래액은 6598억원으로 전월 1조8507억원 대비 64.3% 급감했습니다. 상업용 빌딩은 131건이 거래돼 전월 150건 대비 12.7% 감소했고, 거래액은 8639억원으로 전월 1조5254억원보다 43.4% 줄었습니다. 지난해 연간으로 보면 거래 건수는 3월부터 증가세를 보이다가 9월 이후 조정기에 진입했고, 거래액은 분기 말마다 대형 거래가 집중되며 등락을 반복했습니다. 류강민 알스퀘어 리서치센터장은 “아직 시장 안정화 단계는 아니다”라며 “올해는 금리 인하 기대감이 투자심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한편 알스퀘어는 집합 건물과 지분 거래를 제외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계를 집계했으며, 업무용 빌딩은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기업 JLL 코리아는 올해 한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점진적인 개선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JLL 코리아는 20일 발표한 ‘상업용 부동산 시장: 2024년 회고 및 2025년 전망’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한국 시장이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도 회복탄력성을 보였다고 평가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는 물류 섹터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문에서 거래가 증가했으며, 특히 오피스 부문에서 대형 거래가 잇달아 성사됐습니다. 중소형 자산 거래 비중도 확대되었으며, 장기적인 사무공간 확보를 위한 전략적 투자자들의 활동이 눈에 띄었습니다. 스폰서 리츠를 통한 자산 매입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호텔과 리테일 부문도 투자심리가 회복되며 거래 규모가 개선됐고, 반면 물류 부문은 오피스 중심의 투자 이동으로 다소 위축됐습니다. JLL은 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라 한국은행의 추가 인하 가능성도 제기되며 자금 유입이 확대될 것으로 봤습니다. 오피스 부문은 공급 부족과 임대 활발로, 물류 부문은 공급 과잉 우려 완화로 반등이 기대됐습니다. 또한 향후 투자 다변화 측면에서 데이터센터, 코리빙, 시니어 하우징 등 새로운 부동산 자산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