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금융지주(대표이사 부회장 김용범)는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이 1조358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3일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1조3275억원)보다 2.3% 늘어난 수치로, 반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2분기 순이익은 7376억원으로 분기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7조5817억원, 영업이익은 1조6715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총자산은 124조2453억원에 달했으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업계 최고 수준인 26.3%를 나타냈습니다. 회사 측은 “메리츠화재의 투자손익 호조와 메리츠증권의 기업금융·자산운용 실적 개선이 실적 성장을 이끌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주요 계열사별 성과를 보면, 메리츠화재는 2분기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이 52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늘며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올렸습니다. 상반기 누적 순이익은 9873억원입니다. 상반기 보험손익은 7242억원, 투자손익은 6048억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산운용투자이익률은 4.5%로 지난해보다 0.6%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또 2분기 신계약보험계약마진(CSM)이 3731억원 증가하면서 상반기 말 기준 CSM 잔액은 11조2482억원을 기록했습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은행장 최우형)는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842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특히 2분기 실적은 68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47억원) 대비 96.3% 증가하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습니다. 이자이익은 대출자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 인하와 가상자산 예치금 이용료율 상승으로 이자비용이 늘어나 1033억원에 그쳤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1286억원)보다 19.7% 감소한 수치입니다. 반면 비이자이익은 197억원으로 1년 전보다 16.2% 늘었습니다. 채권 운용수익과 플랫폼 광고 확대가 성장을 견인했으며, 특히 앱테크 서비스 ‘용돈받기’는 출시 두 달 만에 가입자 100만 명을 돌파해 광고 수익을 4배 이상 끌어올렸습니다. 케이뱅크는 향후 다양한 앱테크 서비스로 광고 제휴를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대손비용도 개선됐습니다. 담보대출 비중 확대와 여신심사 고도화에 힘입어 2분기 대손비용은 413억원으로 전년 동기(562억원) 대비 26.5% 줄었습니다. 케이뱅크는 대안신용평가모형 ‘이퀄’을 도입하고, 카드사 등 다양한 외부 데이터를 심사에 반영하며 신용평가시스템(CSS)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건전성 지표 역시 안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가 올해 상반기 263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설립 이후 가장 큰 실적을 올렸습니다. 고객 기반 확장과 다양한 수익 구조 확보가 호실적의 핵심 배경으로 꼽힙니다. 카카오뱅크가 6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경영실적’에 따르면 2분기 순이익은 1263억원으로, 전년 동기(1202억원) 대비 5.1% 증가했습니다. 상반기 누적 순이익은 263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314억원)보다 14% 늘며 반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주목할 점은 여신이자수익이 소폭 줄었음에도 비이자수익이 크게 확대됐다는 점입니다. 상반기 여신이자수익은 9999억원으로 작년 동기(1조204억원)보다 2% 감소했지만, 비이자수익은 5626억원으로 전년 대비 30.4% 증가했습니다. 전체 영업수익(1조5625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6%까지 커졌습니다. 대출·투자·지급결제 등 주요 사업부문은 물론 펌뱅킹과 오픈뱅킹, 광고 수익도 고르게 성장했습니다. 특히 수수료·플랫폼 부문 수익은 1535억원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습니다. 대출비교서비스 성과도 눈에 띕니다. 현재 제휴 금융사는 70여곳으로 확대됐으며, 2분기에만 해당 서비
현대건설이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 잠정 실적을 발표하며, 영업이익 4,307억 원을 기록했다고 18일 공시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1.6% 감소한 15조1,763억 원이었으나, 영업이익은 8.2% 늘어나 실적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공사비 급등기 착공한 현장들이 준공에 들어서고 수익성 높은 공정이 본격화되며, 이익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국내에서는 에쓰오일 샤힌 프로젝트, 힐스테이트 더 운정, 디에이치 클래스트 등이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해외 주요 현장인 사우디 아미랄 패키지4와 파나마 메트로 3호선도 공정 안정화에 힘입어 매출에 기여했습니다. 상반기 매출은 연간 목표치 30조4,000억 원의 49.9%를 달성했으며, 수주는 16조7,34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했습니다. 상반기까지 수주 목표 달성률은 53.7%이며, 수주잔고는 94조7,613억 원으로 약 3.1년치 일감을 확보한 상태입니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3조5,410억 원, 부채비율은 167.9%, 유동비율은 145.3%로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대건설은 기술 기반 고부가 프로젝트 수주와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집중하며, 에너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