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산업 정책

여성이 남성보다 노동시장 이행 기간 짧고, 미취업은 인문사회계열이 가장 심각

 

 

(블록핀)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실태를 분석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대학 졸업 후 노동시장으로 진입하는 기간이 짧으며 전공별 미취업은 인문사회계열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은 지난 6월 30일(금) 'The HRD Review 26권 2호 조사,통계 브리프(대졸자 노동시장 이행 기간과 첫 일자리)'를 통해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는 최근 5개년(2017~2021년)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중 매년 5월 실시하는 청년층 부가조사 자료의 만 15~34세 청년층 중 전문대학 졸업자(총표본수 3206명) 및 4년제 대학 졸업자(총표본수 7717명)를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다. 

 

주요 분석 결과(조사,통계브리프 참조)는 다음과 같다. 

 

성별로 비교하면 여성이 남성보다 대학 졸업 후 노동시장으로 진입하는 시간이 전반적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간 구직 기간의 차이를 다시 학력별로 세분하면 4년제 대학 졸업자가 전문대학 졸업생보다 남녀 간 차이가 더 작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대학 졸업 여성의 취업 확률은 졸업 후 3개월 이내(50.4%), 6개월 이내(58.1%), 12개월 이내(71.2%), 24개월 이내(85.8%)로 나타나, 전문대학 졸업 남성[3개월 이내(38.9%), 6개월 이내(45.8%), 12개월 이내(61.9%), 24개월 이내(76.4%)]보다 항상 높은 비율을 유지했다. 

 

4년제 대학 졸업 여성의 취업 확률은 3개월 이내(36.2%), 6개월 이내(44.8%), 12개월 이내(61.7%), 24개월 이내(79.1%)로 나타나, 4년제 대학 졸업 남성[3개월 이내(31.4%), 6개월 이내(39.2%), 12개월 이내(56.3%), 24개월 이내(73.6%)]보다 항상 높으나, 남녀 간 구직 기간 차이는 전문대학 졸업생보다는 낮았다. 

 

대학 졸업생들이 양질의 일자리(정규직,고임금,전공일치)로의 취업 여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분석됐다. 

 

4년제 대학 졸업자는 표본의 80%가 취업 경험이 있으며, 그중 65%는 정규직, 35%는 고임금(월 200만원 이상의 급여로 정의함), 54%는 자신의 전공과 일치하는 일자리를 첫 일자리로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임금 일자리 표본에서 남성 비율이 59%로 여성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대 졸업자는 표본의 83%가 취업 경험이 있으며, 그중 66%는 정규직, 23%만이 고임금, 54%는 자신의 전공과 일치하는 일자리를 첫 일자리로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임금 일자리 표본에서 남성 비율이 68%로 여성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즉 취업/정규직/전공일치 일자리 비율에선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 간 큰 차이는 없으나 고임금 일자리 비율은 4년제 졸업생이 전문대 졸업생보다 10%p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임금 일자리 표본을 전공별로 분석한 결과 전문대 졸업자에선 공학계열 비중(50%)이 가장 높고, 4년제 졸업자에선 인문사회계열(39%)과 공학계열(33%)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미취업 상태의 표본을 살펴본 결과 전공별로는 인문사회계열이 가장 높은 비중(전문대 40%, 4년제 50%)을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첫 일자리를 그만둔 가장 큰 원인은 근로 여건 불만족이며, 불만족이라고 응답한 사람 대부분이 월 급여 200만원 미만으로 나타나, 대졸 청년층이 첫 직장을 관두는 가장 핵심적인 이유는 급여 수준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대 졸업자는 50% 이상이 근로 여건 불만족으로 첫 일자리에서 퇴직했다. 두 번째 퇴직 이유로는 전문대졸 남성은 직장이나 하고 있는 일이 전망이 없다고 생각(11.4%)이며, 전문대졸 여성은 개인 또는 가족적인 이유(건강, 가사, 육아, 결혼, 학업 계속 등)(18.3%)였다. 

 

4년제 대학 졸업자도 근로 여건 불만족이 퇴직 사유로 가장 큰 비중(남성 46.9%, 여성 45.2%)을 차지했으며, 두 번째 이유로는 전문대 졸업자와 마찬가지로 남성은 일자리 전망(10.4%), 여성은 개인 또는 가족적인 이유(건강, 가사, 육아, 결혼, 학업 계속 등)(18.0%)를 꼽았다. 

 

한편 근로 여건이 불만족이라고 응답한 청년의 대부분(79.9%)은 첫 직장 월 급여가 200만원 미만이며 150만원 미만(42.1%)과 100만원 미만(11.5%)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해, 근로 여건 불만족의 구체적인 이유는 고용이나 근로 형태보다는 임금인 것으로 판단된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