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금융 경제

배너

삼성금융 양날개 나란히 순익 2조↑…“화재 자회사 편입해도 경영변화 없다”

삼성생명 지난해 순익 2조1068억원
삼성화재 업계 최초로 2조 순익 돌파
화재 자회사 편입승인 금융당국 신청
"편입되도 경영활동 전반 변화없을 것"

 

삼성금융 보험 쌍두마차 삼성생명(대표이사 사장 홍원학)과 삼성화재(대표이사 사장 이문화)가 나란히 연간 순이익 2조원 시대를 활짝 열었습니다.


주요 생명·손해보험사들이 지난해 전반적으로 호실적을 거둔 가운데 양 업계 1위 삼성생명·삼성화재의 2조원대 이익성적표는 단연 도드라집니다.


삼성생명의 2024년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2조1068억원으로 전년(1조8953억원) 대비 11.2%(2115억원) 증가했습니다. 역대 최대 실적이자 2016년(2조500억원) 이후 8년만에 다시 2조원대 순이익을 돌파한 것입니다.


삼성생명은 앞서 3분기 누적으로 2조421억원의 순이익을 내며 최고 실적 경신을 예고한 바 있습니다. 삼성생명은 "배당수익 증가와 금리하락에 따른 부채부담이자 감소 등 영향으로 투자손익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됐다"고 설명합니다.


2024년말 기준 보유 CSM(보험계약마진)은 신계약CSM(3조3000억원) 성과와 효율관리로 7000억원 늘어난 12조9000억원을 확보했습니다. 전속설계사는 연초 대비 5570명 증가한 3만7313명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영업채널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삼성생명은 견조한 이익성장을 기반으로 역대 최고 수준인 주당 4500원의 배당을 결정했습니다. 주당배당액은 2022년 3000원, 2023년 3700원이었습니다. 삼성생명은 중기주주환원율 50%를 목표로 점진적 상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손해보험업계를 이끌고 있는 삼성화재의 지난해 연간 순이익은 2조736억원으로 2023년 1조8184억원 대비 14.0%(2552억원) 늘었습니다. 손해보험업계에서 처음으로 순이익 2조원대에 진입한 것입니다.


보험손익(1조8893억원)은 6% 줄었지만 투자손익(8453억원)이 무려 101.8%(4265억원) 증가한데 힘입었습니다. 특히 장기보험은 CSM상각익 증가와 안정적인 예실차(예상 보험금·사업비 대비 실제 발생한 보험금·사업비의 차이) 관리로 누적 보험손익 1조5776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2.5% 성장했습니다.


삼성화재는 지난 1월말 발표한 밸류업 계획 실행을 위해 지급여력비율(K-ICS)은 220% 수준으로 내부 관리목표를 설정해 점진적으로 자본효율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지속가능한 자기자본이익률(ROE) 목표를 11~13%로 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계획입니다. 삼성화재는 2028년 50%를 목표로 주주환원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자사주 비중을 현재 15.9%에서 5% 미만으로 축소하는 등 구체적인 계획을 공개하면서 주주환원정책 지속가능성과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한편 삼성생명은 지난 13일 금융위원회에 삼성화재를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한 승인을 신청했습니다.


삼성화재가 자사주 소각 등 밸류업 계획을 이행해 자사주 보유비중이 2028년까지 5% 미만으로 줄어들면 최대주주인 삼성생명의 보유지분이 현재 14.98%에서 올해 15.9%, 2028년 17%로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보험업법은 보험사가 자회사 아닌 다른 회사 지분을 15% 초과해 보유할 수 없다고 규정합니다. 15%를 초과해 자회사로 변경하려면 금융위원회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삼성생명은 삼성카드·삼성증권을 자회사로 두고 있고 현재 삼성화재는 별도법인으로 남아있습니다.

 


이완삼 삼성생명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20일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 콜에서 "삼성화재 자회사 편입에 따라 손익이나 자본비율 등 경영활동 전반에 대한 변화는 없다"며 "현재로는 추가 지분 확보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구영민 삼성화재 경영지원실장(CFO)도 지난 13일 컨퍼런스 콜에서 "삼성생명 자회사로 편입되더라도 사업운영 및 거버넌스 측면에서 현재와 마찬가지로 사업을 영위할 것이고 변경될 사항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배너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