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산업 정책

배너

KT,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로 160억 피해 예방

2개월 분석 결과, 탐지 정확도 90.3% 달해
케이뱅크와 협력해 금융권에도 기술 적용

 

KT[030200]는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통해 2개월간 약 160억원 상당의 피해를 예방했다고 7일 밝혔습니다.

 

KT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 1월 22일 서비스 개시 이후 ‘주의’ 및 ‘위험’ 등급으로 탐지된 보이스피싱 통화 중 확인 가능한 1528건의 탐지 정확도는 90.3%에 달했습니다. 특히 이 중 392건(25%)은 경찰청의 보이스피싱 블랙리스트 또는 검찰·경찰 사칭 사례로 확인돼 알림 기능이 실질적인 피해 예방에 효과적임을 입증했습니다.

 

KT는 정부가 발표한 2024년 보이스피싱 건당 평균 피해액 약 4100만원을 기준으로 환산 시, 약 160억원 규모의 피해 예방 효과를 거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KT 관계자는 “다만, 요금 청구나 수납 관련 정상 통화에서 오탐 사례가 일부 발생했다”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AI 엔진 고도화와 화이트리스트 업데이트를 통해 상반기 내 정확도를 더욱 높일 계획이다”고 말했습니다.

 

KT는 서울경찰청과 협력해 자체 개발한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과 경찰이 확보한 악성 앱 설치 URL을 연계, 실제 보이스피싱 피해를 차단하는 데도 기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보이스피싱 의심 번호와 통화한 고객이 해당 URL에 접속한 3667건의 사례를 서울경찰청에 제공했으며, 경찰은 이를 바탕으로 피해자와 직접 연락하거나 대면 접촉해 실제 피해를 사전에 방지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카드 배송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피해자를 대상으로 계좌 지급정지 조치가 이뤄졌고, 검찰 사칭 피싱범에게 수표 1억 원을 전달하려던 피해자 역시 대면 차단을 통해 피해를 막는 등 2024년 2월~3월 두 달간 약 20억원 규모의 피해가 예방됐습니다.

 

KT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4월부터 케이뱅크와 협력해 금융권 최초로 AI 기반 보이스피싱 실시간 탐지 기술을 적용합니다.  이 서비스는 케이뱅크의 금융사기 방지 시스템과 연동, 고객이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는 전화를 받을 경우 실시간 탐지 정보를 케이뱅크에 제공합니다.

 

 KT AX혁신지원본부장 이병무 상무는 “AI 기술이 실제 보이스피싱 예방에 기여하고 있어 매우 고무적이다”며 “통신사 구분 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한 ‘후후’ 앱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배너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