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개인투자자들은 국내 주식시장을 떠나 금 투자에 나선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치, 경제 전반에 걸쳐 예측 가시성이 떨어지면서 보다 안전한 자산으로 이동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4일 한국거래소 2024년 영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유가증권시장(코스피)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전년 9조6000억원에서 지난해 10조7000억원으로 11.5% 늘었지만 거래량은 5억3820만주에서 4억8690만주로 9.5% 감소했습니다.
이같은 현상은 대형주 중심으로 거래가 쏠렸다고 볼 수 있는데 주로 기관과 외국인투자자 매매가 활발할 때 관찰됩니다.
반면 개인투자자 비중이 압도적인 코스닥시장 하루 평균 거래대금과 거래량은 모두 줄었습니다. 거래대금은 10조원에서 8조4000억원으로 16.3%, 거래량은 11억1810만주에서 9억6760만주로 13.5% 감소했습니다.
부진한 시장수익률에 개인투자자 발길이 뜸해졌습니다. 지난해 코스피, 코스닥지수는 각각 9.6%, 21.7% 하락하면서 세계 93개 주요 지수중 수익률 순위 88위와 92위를 기록하는 등 부진했습니다.
시가총액 역시 유가증권시장의 경우 2023년 2126조원에서 2024년 1963억원으로 163조원 줄었고, 코스닥시장은 431조8000억원에서 340조1000억원으로 91조7000억원 감소했습니다. 양 시장 합산 254조7000억원이 지난 한해 증발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코스닥시장에서는 부실기업 퇴출이 늘고 상장 문턱이 한층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코스닥시장에서 상장폐지된 기업수는 48개사로 전년 37개사 대비 11개사(29.7%) 늘었습니다.
이와함께 상장기업은 129개사에서 121개사로 8개사(6.2%) 줄었습니다. 공모는 많고 한계기업 퇴출은 저조한 국내 증시 병폐가 점차 해소돼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대신 개인투자자들은 금시장으로 눈을 돌렸습니다. 지난해 한국거래소 금시장에서 집계된 하루평균 금 거래량은 108kg, 거래대금은 120억원으로 전년 56kg, 46억원 대비 각각 91.8%, 160.5% 늘었습니다.
대내외 정치·경제에 걸쳐 불확실성이 확대된 점이 안전자산 선호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국거래소는 "지난해 금 가격이 금리인하 전망과 함께 중앙은행 순매수세 등 다양한 요인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 경신했다"며 "미국 대통령 선거를 포함해 중동 리스크 등 국제 정세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국제 금 가격 상승이 가속화됐고 이에 따라 금 투자에 대한 관심도 크게 증가했다"고 평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