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이 국내 최초로 블루수소 생산을 위한 이산화탄소(CO2) 포집·액화 통합공정 실증시설을 완공하며, 저탄소 기술 상용화에 본격 나섰습니다.
현대건설은 지난 14일 경기도 평택 수소특화단지에서 ‘CO2 포집·액화 실증시설 준공식’을 열고 친환경 에너지 전환과 수소경제 확산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행사에는 김태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 김재영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 등 주요 인사가 참석해 한국형 CO2 포집·액화 통합공정의 연구 성과를 공유했습니다.
이번 시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2년 국책과제인 ‘블루수소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CO2 포집·액화·활용 기술 개발’의 결과물입니다. 2년여 간의 연구와 현장 실증을 통해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했으며, 현대건설이 총괄 주관기관으로서 공정 설계·시공·운영을 모두 주도했습니다.
특히 국내 최초로 습식 포집 방식과 분리막 포집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통합공정을 구축했습니다. 이를 통해 수소 생산시설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연간 약 3만 톤의 CO2를 안정적으로 포집·액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완성했습니다.
현대건설은 이번 실증을 통해 포집 효율 90% 이상, 순도 95% 이상의 고순도 CO2 확보가 가능함을 확인했습니다. 포집된 이산화탄소는 액화 공정을 거쳐 액체탄산이나 드라이아이스 등으로 전환돼 산업용 특수가스나 합성연료, 화학제품의 원료로 활용될 수 있어 상업적 가치도 높습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현대자동차, 롯데케미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맑은환경산업, 에니스, 한국특수가스 등 다양한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했습니다. 현대건설은 산학연 협력 체계를 바탕으로 CCU(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의 자립도와 경쟁력을 높이고, 탄소 저감 산업의 핵심 역량을 확보했습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국책과제 착수부터 평택 실증시설 준공에 이르기까지 핵심 기술력을 자체 확보한 것은 블루수소 산업 발전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라며 “앞으로도 축적된 실증 경험을 기반으로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시장에서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현대건설은 이번 실증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외 수소 플랜트, 소각로, LNG 보일러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CO2 포집·액화 기술을 적용해 저탄소 전환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달에는 전북 부안에 수전해 기반의 그린수소 생산 인프라를 완공하는 등 수소 밸류체인 확장을 위한 기술 투자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