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066570]는 서울 신천동 롯데월드몰에서 배경준 셰프와 함께하는 'LG 쿠킹 가전 홈 파인다이닝' 쿠킹클래스를 진행했다고 8일 밝혔습니다. 이번 행사는 LG 쿠킹 가전의 가치를 전하는 '하우스 오브 LG 퀴진'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됐습니다. 이날 행사에서는 인기 요리 예능 흑백요리사에 출연했던 배경준 셰프(참가명 '원투쓰리')가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LG 디오스 쿠킹 가전들을 소개하고 인덕션, 광파오븐 등 제품으로 홈 파인다이닝 메뉴를 직접 만들고 맛보게 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LG전자 앰버서더들을 비롯해 리빙·쿠킹 크리에이터 20여명이 참여, 집에서 손쉽게 만들 수 있는 파인다이닝 메뉴로 배경준 셰프의 '버섯 마데이라 소소를 곁들인 채끝 스테이크' 요리법을 전수받았습니다. 참석자들은 숏폼 영상 등 다양한 온라인·SNS 콘텐츠로 이 날 배운 레시피를 전파할 예정입니다. 클래스 및 레시피 영상들은 LG전자 SNS 채널에서 볼 수 있으며 고객 참여 이벤트 및 기획전도 내달 초까지 LGE닷컴에서 진행 예정입니다.
SK텔레콤[017670]은 AI 사이버보안 기술 스캠뱅가드를 활용한 AI 기반 이상탐지 통합 서비스를 개발하고 IBK기업은행 및 자사 AI 서비스 에이닷(A.)에 적용했다고 8일 밝혔습니다. 이번 이상탐지 통합 서비스는 국내 최초로 통신 정보와 금융 데이터를 연계, 고객의 보이스피싱 노출 여부와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며 이체·출금 차단 등 선제적 대응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스캠뱅가드를 기반으로 개발된 이 설루션은 보이스피싱, 스미싱, 스캠 등 전자금융사기를 통합적으로 탐지·분석합니다. SKT는 스캠뱅가드를 고도화해 ▲AI 미끼문자 탐지 시스템 ▲피싱 시도 채팅 탐지 시스템 ▲보이스피싱 통화 패턴 분석 AI ▲본인확인 분석 AI 등 네 가지 AI 기술을 적용, 탐지 정확도를 높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스캠뱅가드는 지난 CES 2025에서 '사이버보안 부문 최고 혁신상'을 수상했고 MWC 2025의 글로모 어워드에서 '커넥티드 소비자를 위한 최고의 이동통신 서비스'의 영예를 안는 등 국제 무대에서 인정받은 바 있습니다. SKT는 지난해 9월 IBK기업은행과 체결한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협약을 바탕으로 이번 이상탐지 통합 설루션을 금융권 고객 보호 강화 설루션 '
LG전자[066570]가 신규 오디오 브랜드 'LG 엑스붐(LG xboom)'을 선보이며 글로벌 오디오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에 나섭니다. LG전자는 7일 서울 영등포구 그라운드220에서 LG전자의 오디오 사업전략과 엑스붐 신제품을 소개하는 'LG 엑스붐 브랜드데이'를 진행했습니다. 행사를 통해서 공개된 엑스붐 포터블 스피커 신제품은 ▲LG 엑스붐 스테이지 301 ▲LG 엑스붐 바운스 ▲LG 엑스붐 그랩 등 3종입니다. 오디오에 대한 새로운 정의…"단순한 협업 아냐" LG 엑스붐 브랜드는 세계적인 뮤지션이자 기업가인 윌아이엠(will.i.am)과의 협업을 통해 탄생했습니다. LG전자는 윌아이엠을 '새로운 경험을 설계하는 역할(Experiential Architect)'이라 정의했습니다. 이정석 LG전자 오디오사업담당 전무는 "이름과 얼굴을 빌려주는 브랜드 앰버서더가 아니다"라며 "사운드 튜닝부터 디자인, 버튼을 눌렀을 때 나오는 시그널링 음원들까지 모두 윌아이엠과 협업을 통해 함께 설계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음향기기 브랜드인 '비츠 바이 닥터 드레(Beats by Dr. Dre)'와 같이 윌아이엠이 LG 엑스붐 브랜드의 전체적이 지휘자라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3조60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2조3000억원으로 축소한다고 8일 밝혔습니다. 안병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략총괄(사장)은 이날 서울 중구 한화빌딩에서 열린 설명회에서 "유상증자 발표 이후 주주, 언론, 시민단체 등으로부터 따가운 질책과 염려의 말씀이 있었다"며 "경영적으로 옳은 방향이더라도 밀어붙이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해 유상증자 규모 축소와 제3자 배정 증자를 결정했다"고 말했습니다. 유증이 대주주 경영권 승계 과정에 활용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자 축소 결정을 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에 앞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에너지와 한화임팩트로부터 한화오션 지분 7.3% 가량을 1조3000억원에 사들인 바 있습니다. 회사는 주주배정 유증 규모를 2조4000억원으로 줄이는 대신, 한화에너지,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싱가폴 등 3개사가 1조3000억원 규모 제3자 배정 유증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재규 한화에너지 대표는 "1조3000억원의 조달 목적은 승계와 무관한 재무구조 개선 및 투자재원 확보였고, 실제 자금 일부가 차입금 상환과 투자에 쓰였다"며 "불필요한 승계 논란에 휘말리지 않기 위
KG모빌리티[003620]는 전기 SUV ‘토레스 EVX’의 개선 모델 ‘토레스 EVX ALPHA(알파)’를 출시하고 판매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습니다. 이번에 선보이는 ‘토레스 EVX ALPHA’는 기존 모델 대비 배터리 용량을 개선해 주행거리를 증대하고 편의 사양을 추가해 상품 경쟁력을 한층 높인 것이 특징이라고 전했습니다. 차량의 서브네임 ‘ALPHA(알파)’는 ‘플러스 알파’의 의미를 담아 가치를 더했다는 뜻을 담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새롭게 탑재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는 73.4kWh에서 80.6kWh로 용량이 증가해 1회 충전 시 최대 주행 가능 거리가 433km에서 452km(18인치, 복합 기준)로 늘어났습니다. 외관은 신규 20인치 다이아몬드 컷팅 휠을 새롭게 적용했습니다. 서스펜션에 SFD 밸브를 적용해 주행성능도 강화했습니다. 12.3인치 내비게이션은 KGM의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아테나 2.0’ GUI를 적용해 디스플레이의 시인성과 조작성을 향상했으며, 2열 히팅 시트 조작 기능을 AVN에 추가해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를 지원해 서비스센터 방문 없이도 최신 소프트웨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삼성중공업[010140]은 오세아니아 지역 선주로부터 원유운반선 4척을 4778억원에 수주했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이 선박은 2028년 12월까지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입니다. 선종 별로는 LNG운반선 1척, 셔틀탱커 9척, 에탄운반선 2척, 원유운반선 4척 등 16척입니다. 회사 측은 이번 계약으로 삼성중공업은 총 22억 달러를 수주해 연초 제시한 연간 수주 목표 98억달러의 22%를 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원유운반선은 노후선 비중이 높아 교체 수요가 꾸준히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LNG 운반선, FLNG 등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선별 수주 전략을 유지하면서 글로벌 시장 환경의 변화에 맞춰 탄력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습니다.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테키마’(성분명: 우스테키누맙)가 이달 3일(현지 시간) 미국 3대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중 한 곳의 처방집에 등재 결정이 이뤄졌다고 7일 밝혔습니다. 미국 출시 약 한 달 만에 거둔 성과입니다. 이를 통해 스테키마는 해당 PBM에서 운영하는 모든 공-사보험 처방집을 확보했으며 특히 우선 처방이 가능한 선호의약품 지위를 차지하게 됐습니다. 해당 PBM에서 관할하는 공-사보험은 전체 미국 보험 시장에서 약 22%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 제약 시장에서 3대 PBM은 전체 보험 시장의 약 80% 규모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대형 PBM과 제약사가 협상하지 않을 경우 보험사에서 운영하는 처방집에 의약품이 등재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환자는 고가의 치료제를 비용 환급 없이 제품 가격 그대로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판매가 불가능합니다. 스테키마는 셀트리온 미국 법인에서 직판하고 있습니다. 같은 자가면역질환 제품인 짐펜트라(램시마SC 미국 제품명) 및 유플라이마를 판매하며 구축한 인적 네트워크가 이번 계약 과정에서 중요하게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셀트리온은 이번 계약에 앞서 지난달 22일(현지 시간)
KT[030200]가 IPTV 플랫폼 지니 TV에서 독점 공개하던 오리지널 콘텐츠를 티빙·넷플릭스 등 다양한 OTT 플랫폼에 제공하며 유통 전략을 전면 개편한다고 6일 밝혔습니다. KT는 이번 유통 전략 개편을 통해 국내외 다양한 플랫폼에서 콘텐츠 접근성을 높이고 ‘Made By KT’ 콘텐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개편 전략은 개방·브랜드 가치·글로벌 등 세 가지 핵심 방향으로 추진됩니다. 먼저 ‘개방(Open)’ 전략은 기존 KT IPTV 고객에게만 제공되던 오리지널 콘텐츠를 OTT 플랫폼과 제휴해 더 많은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지난달 전혜진·조민수 주연의 ‘라이딩 인생'을 티빙과 지니 TV 무료 VOD로 동시 공개한 데 이어 4월 7일 공개되는 김민호·김동준 주연의 ‘신병 3’ 역시 티빙과 지니 TV에서 동시 공개해 콘텐츠 접근성을 높이고, 폭넓은 시청층을 확보한다는 전략입니다. 브랜드 가치 강화 전략으로는 새로운 슬로건 ’어디서나 만날지니’를 통해 지니 TV 오리지널의 브랜드 정체성과 인지도를 강화하고, 웰메이드 콘텐츠의 대표 기업으로 자리매김해 종합 미디어 사업자로 도약한다는 계획입니다. 글로벌 확장을 위해서는
SK텔레콤 등이 이끄는 민간 기업의 데이터 협력 얼라이언스 '그랜데이터'가 유통과 모빌리티 분야로 외연을 넓히며 사업 확장에 나섭니다. SK텔레콤[017670]은 그랜데이터 사업의 기존 참여사인 SK텔레콤·SK브로드밴드·신한카드·코리아크레딧뷰로(KCB)·카카오모빌리티 등에 이어 이마트가 신규 참여사로 합류했다고 6일 밝혔습니다. SKT를 비롯한 그랜데이터 참여사들은 지난 3일 서울 을지로 SK T-타워에서 이마트와 협약식을 가진 이후 '그랜데이터 서밋 2025'를 열고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 소개 및 데이터 활용 방안과 사례 등을 공유했습니다. 그랜데이터는 2021년 SKT·신한카드·KCB가 공공·민간 분야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 지원과 민간 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출범시킨 민간 데이터 결합 사업입니다. 참여한 각 사가 보유한 데이터는 익명·가명 처리돼 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의 복지, 마케팅 사업 등에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는 상권 활성화를 위해 그랜데이터의 통신·신용카드·온라인 정보 등을 기반으로 예비 창업자 및 기존 소상공인들에게 데이터 기반의 정교한 시장 분석을 지원합니다. 유통 대기업인 이마트가 그랜데이터에
GS리테일이 운영하는 GS25는 자사 베이커리 시리즈 ‘성수’가 론칭 1년여 만에 누적 판매수량 300만개, 연 매출 100억원을 돌파했다고 7일 밝혔습니다. GS25는 지난해 3월 베이커리 시리즈 ‘성수’를 론칭했습니다. 베이글, 바게트, 크루와상, 크로와글 등 메뉴를 중심으로 라인업을 구성했습니다. 전문점 수준의 맛을 구현하고자 뜨거운 물에 익히는 정통 베이글 기법을 비롯해 각 빵에 맞는 정통 제조 방식을 적용했습니다. 제품 특성을 잘 살리면서도 한번 들으면 쉽게 잊히지 않는 '상품명' 또한 인기 요인입니다. '핫플' '맛집' '디저트' 등 단어를 연상시는 상품명으로 고객 관심을 유도했습니다. 실제로 성수 시리즈 1020 매출 비중은 52.1%로 과반수를 넘었습니다. ‘성수’ 시리즈는 병행 구매율(특정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가 다른 상품군을 구매한 비율)이 83.5%로 높아 가맹점 입장에선 주요 집객 상품으로 꼽힙니다. 주요 병행 구매 품목은 커피, 우유 등인데 GS25가 지난해 성수 시리즈 매출 우수 점포 100개를 대상으로 자사 커피브랜드 ‘카페25’ 매출을 살펴본 결과 전년 동기 대비 40% 이상 신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달 성수 시리즈 저당 라
팔도는 오는 14일부로 라면 및 음료 브랜드 가격을 인상한다고 7일 밝혔습니다. 팔도의 가격 인상은 지난 2022년 10월 이후 2년 6개월만입니다. 주요 제품 가격은 소매점 기준 팔도비빔면이 1100원에서 1150원(4.5%), 왕뚜껑이 1400원에서 1500원(7.1%), 남자라면이 940원에서 1000원(6.4%)으로 오릅니다. 음료는 비락식혜 캔(238ml)이 1200원에서 1300원(8.3%), 비락식혜 1.5L가 4500원에서 4700원(4.4%)으로 인상합니다. 팔도 관계자는 "원부자재 및 물류, 인건비 등 생산 원가 상승으로 불가피하게 가격인상을 결정했다"고 말했습니다.